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성격강점과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남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ower Grade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양곤성(Gon Sung Y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3호, 155~17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성격강점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자존감과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성격강점의 성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서울 소재 초등학교 2, 3학년 학생 431명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자존감, 삶의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24개 성격강점의 평균을 구하여 저학년 학생의 대표적 성격강점을 알아보았고, 남, 여학생 간 차이 확인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성격강점과 자존감, 삶의 만족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24개 중 어떤 성격강점이 자존감과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24개 성격강점을 모두 투입한 후 단계선택방법을 활용한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 저학년 학생의 상위 성격강점은 시민의식, 공정성, 사랑, 감사, 활력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학생의 학구열, 사랑, 친절성, 공정성, 심미안 강점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 저학년 학생의 낙관성, 시민의식, 사랑, 끈기 강점이 자존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초등 저학년 학생의 감사, 사회지능, 낙관성, 개방성 강점이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그리고 남, 여별로 자존감, 삶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성격강점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드물었던 초등 저학년 학생의 성격강점 특성을 상세히 조사했고, 높은 수준의 자존감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특정 성격강점을 학생 전체 및 남, 여학생을 구별하여 구체적으로 밝혔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높은 자존감, 삶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특정 성격강점들을 밝혀 초등 저학년 학급 단위의 성격강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strengths and character strengths that significantly predic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ower grades. Methods The character strength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est was conducted on 431 2nd and 3r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average of character strengths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strengths. A t-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character strengths between male and females.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character strength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epwise method was conducted to explore which character strengths predic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he character strengths of students were high in the following order: Citizenship, fairness, love, gratitude, and zest. Female students' love of learning, love, kindness, fairness, and appreciation of beau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Second, Optimism, citizenship, love, and perseverance significantly predicted self-esteem. Third, Gratitude, social intelligence, optimism, and openness significantly predicted life satisfaction. The character strengths that predicted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somewhat different for males and females. Conclu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character strengths that significantly effected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ly utilized as data for developing individualized character strengths-related education programs that promot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곤성(Gon Sung Yang). (2025).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성격강점과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남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3), 155-174

MLA

양곤성(Gon Sung Yang).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성격강점과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남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3(2025): 155-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