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Empathy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Satisfaction with One’s Major in Nursing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성경(Seong Kyong Kim) 민자영(Ja Young Min) 김지우(Ji Woo Kim) 김채원(Chae Won Kim) 김한서(Han Seo Kim) 나지은(Ji Eun Na) 박승현(Seung Hyun Park) 박지혜(Ji Hye Park) 박한비(Han Be Park) 배정빈(Jeong Bin Bae) 이승은(Seung Eun Lee) 이예림(Ye Rim Lee) 이예지(Ye ji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3호, 97~10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전공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이며 다양한 방법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2024년 9월 25일부터 2024년 10월 11일까지 충남에 소재한 H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4학년 13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30.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r=-.64, p<.001), 공감능력과 전공만족도(r=-.52, p<.001)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소통능력과 전공만족도(r=.65, p<.001)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거주형태(ß=.81, p<.001), 공감능력(ß=-.38,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전공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78.1%이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전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고려한 체계적이며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의 확인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mpathy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satisfaction with one’s major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30 3rd and 4th year nursing students at H University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5 to October 11, 2024.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30.0 program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Empathy ability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ability(r=-.64, p<.001) and satisfaction with one’s major(r=-.52, p<.001). Communication abilit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one’s major(r=.65, p<.001). Satisfaction with one’s major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residence type(ß=.81, p<.001) and empathy ability(ß=-.38, p<.001), which had an explanatory power of 78.1%. Conclusions To establish satisfaction with one’s major in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factors influencing major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경(Seong Kyong Kim),민자영(Ja Young Min),김지우(Ji Woo Kim),김채원(Chae Won Kim),김한서(Han Seo Kim),나지은(Ji Eun Na),박승현(Seung Hyun Park),박지혜(Ji Hye Park),박한비(Han Be Park),배정빈(Jeong Bin Bae),이승은(Seung Eun Lee),이예림(Ye Rim Lee),이예지(Ye ji Lee). (2025).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3), 97-106

MLA

김성경(Seong Kyong Kim),민자영(Ja Young Min),김지우(Ji Woo Kim),김채원(Chae Won Kim),김한서(Han Seo Kim),나지은(Ji Eun Na),박승현(Seung Hyun Park),박지혜(Ji Hye Park),박한비(Han Be Park),배정빈(Jeong Bin Bae),이승은(Seung Eun Lee),이예림(Ye Rim Lee),이예지(Ye ji Lee).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3(2025): 97-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