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관련 국내 유아미술교육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in Korea targete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윤희(Yoon Hee Jo) 박정은(Jung Eu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3호, 141~15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15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사관련 국내 유아미술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미술 연구주제와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2009년부터 2023년을 기점으로 등재학술지에 수록된 유아미술교육 관련 교사논문 71편에 대한 연구주제, 연구방법, 교수전략, 교사교육현황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주제는 현황관련 주제와 교사교육 주제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현황에서는 현직교사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이 실행되었으며 교사교육에서는 예비교사 대상 연구가 더 많이 실행되었다. 둘째, 연구방법은 질적연구, 양적연구, 문헌연구로 구분하였다.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에서 모두 현직교사의 연구가 더 많이 실행되었다. 셋째, 사용된 교수전략은 37개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전략은 실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시워크숍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교사교육현황에 대한 연구는 13편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사교육현황은 질적연구와 양적연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사교육현황은 질적연구를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장소로는 대학교에서 가장 많이 연구가 수행되었다.
결론 유아미술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한 바 교사관련 유아미술교육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야 하며 연구의 주제가 좀 더 다양화 되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수전략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bject of art research and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for teachers.
Methods The analsis date were 71 teacher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ublished in registered academic journals from 2009 to 2023, and the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teaching strategies, and teacher education statu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r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opic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ituation-related topics and teacher education topics. In the situation, most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in-service teachers, and in teacher education, more serearches were conducted on prospective teachers. Second, research methods were classified into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ore serearches were conducted on in-service teachers. Third, there were 37 teaching strategies used. Among the strategies for prospective teachers, practical training was used most often, and in the sesearches for in-service teachers, exhibition workshop was used most often. Fourth, there were 13 researches on the status of teacher education. Regarding the status of teacher education for prospective teachers,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were found to be at similar levels,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used more in the status of teacher education for in-service teachers.
Conclusions After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 lo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 teachers should be conducted, and the subject of the research needs to be more diversified. In addition, research on various teaching strategies for incumbent teachers i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한중 노인 학습자 음악 학습 동기, 의향 및 학습 태도에 대한 특성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3호 목차
- 학교 공간의 교육효과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The Impact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s on Climate Change Responses⋅Prospects, and Practice Compet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limate Change Problem Perception
- 대학 강의우수교원의 수업 준비와 운영: 네트워크 시각화와 체제적 교수 설계 분석
- 간호대학생의 안전동기, 개인적 태도, 표준주의 안전환경이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선다형 평가에서 문두 종결 표현 방식에 대한 고찰: ‘알맞은’과 ‘적절한’을 중심으로
- 아동의 괴롭힘 피해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을 통한 적대적 귀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Dewey의 경험 철학에 근거한 AI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의 방향성 고찰
- 대학생의 충동성과 비자살적 자해간 관계: SNS 중독경향성과 자기비난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교사관련 국내 유아미술교육 연구동향 분석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성격강점과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남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동과 에너지 영역 성취기준 분석: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중심으로
- 스마트폰 사용 목적이 학업 성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중학생-교사 관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미술 매체로서 인공지능의 의미와 미술교육적 함의
- 한 중년 여성의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공포 경험과 자기수용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융합된 가족관계에서 성장한 중급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Bibliometrix 패키지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과학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국제저명학술지를 중심으로
- 협동어린이집에서 Steiner의 교사협의체(Kollegium) 적용 및 운영과 영유아 중심⋅놀이 중심 교육 실천에 관한 연구
- 산후우울증을 경험한 초등학교 여교사의 교육학 박사학위 취득 여정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발달장애중학생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 진로와 직업 수업모형 개발
-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핵심역량과 비판적사고성향이 간호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K-MOOC를 활용한 대학 수업 사례 연구
- 고교학점제 학생 과목 선택권 격차 해소 방안 탐색: 교사 자원 및 지역 자원 활용 중심으로
- 흡연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비문해 여성 노인의 문해교육 경험과 삶의 변화: 초등 학력 후 과정에 재학 중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그릿,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Views on Educators’ Roles and Qualities
- 대면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몰입과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비교 및 교수 전략 탐색
- 사회초년생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를 중심으로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가능성 고찰
- 외국계 기업 구성원의 의사소통능력, 혁신행동, 셀프리더십에 관한 교육요구분석
- Jung의 분석심리학에 바탕을 둔 박인환 시 읽기
- 초등 5-6학년 발달성 난독 학생과 일반 학생의 문단글 읽기유창성 발달 특성
-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소진의 매개효과와 질적 경험 분석
- 대학생의 완벽주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참여 유형
- 교육학 연구를 위한 문화기술지 연구방법 활용 탐색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기독교 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2013-2024년) 분석
-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놀이전문성,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그릿(Grit)의 매개효과
- 스포츠 치어리딩 동아리 설립 운영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한국어 집중 캠프의 설계 및 운영 사례: 광주 지역 이주배경 중학생을 대상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지역 교육과정 발전 방향 탐색: 충청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율적 통제능력의 조절효과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외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에 나타난 ‘페다고지(pedagogy)’의 의미 탐구: 호주, 뉴질랜드, 핀란드를 중심으로
-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셀프리더십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 그 보이지 않는 맥락들: 문화인류학적 시선과 질적연구의 역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