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media literacy related content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수희(Suhee Ch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3호, 175~18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11종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의 반영 현황을 분석하여 학교 음악 수업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학교 교육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에서 제시한 3개 영역, 10가지 구성 요소를 준거로 하여 음악 교과서를 미디어 유형의 종류 및 빈도 분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의 반영 양상,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새롭게 편찬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들이 풍부하게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뉴미디어가 구미디어 자료 유형에 비해 높은 비율로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었다. 셋째, ‘생산하기’와 ‘(시민으로) 살아가기’ 영역이 ‘수용하기’ 영역에 비해 부족하게 제시되어 있었다. 결론 음악교과교육 속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목적에 맞게 적절히 수행되기 위해서는 비판적 판단 능력과 함께, 협력적 소통 역량 등을 함양할 수 있는 영역 및 학습 내용 구성과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 및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창의적인 실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reflections of media literacy-related content in 11 high school ‘music’ textbooks compiled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 extract implications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chool music classes. Method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music textbooks in two ways: by analyzing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media types and media literacy teaching content, and by reflecting on media literacy teaching content based on the three domains and 10 components of the Media Literacy Framework for School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Results First, the new high school “music” textbooks were rich in media literacy content. Second, new media were represented in greater proportion and variety than older media types. Thirdly, the ‘producing’ and ‘living (as a citizen)’ domains were underrepresented compared to the ‘receiving’ domain. Conclusions To ensure that media literacy in music education is fit for purpose, further research and creative practice is needed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areas such as critical judgement an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in the organisation of learning cont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수희(Suhee Cho). (2025).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3), 175-187

MLA

조수희(Suhee Cho).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3(2025): 175-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