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외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에 나타난 ‘페다고지(pedagogy)’의 의미 탐구: 호주, 뉴질랜드, 핀란드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of “Pedagogy” in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Focusing on Australia, New Zealand, and Finland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 저자명
- 손연주(Yeon Ju Son) 권윤지(Yoon Ji Kwon)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15권 제3호, 60~86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외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에서 페다고지 용어 사용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 맥락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호주, 뉴질랜드, 핀란드의 문서를 따로-함께 읽는 횡단적 읽기를 시도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선형적인 절차에 따르기보다 생성과 해석이 교차하며 반복되는 순환적 과정으로 이해되었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첫째, ‘영유아교육과정에 나타난 페다고지의 정의’에서는 ‘지식과 실천, 창의성을 나타내는 교사의 전문성(호주)’, ‘직조된 매트와 같이 흩어지고 엮이는 페다고지 정의의 조각들(뉴질랜드)’, ‘개념과 가치를 함께 지향하는 구체적인 활동성(핀란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육과정에 담긴 페다고지와 교사의 관계 맥락’에서는 ‘개별 교사의 내재된 전문성(호주)’, ‘교사의 사려 깊고 의도적인 페다고지(뉴질랜드)’, ‘핵심 교육과정과 함께 작동하는 잠재적 페다고지(핀란드)’로 나타났다. 셋째, ‘각 국가별 고유한 페다고지 용어의 변용’에서는 ‘관계적 페다고지와 장소기반 페다고지를 강조하기(호주)’, ‘전체와 부분의 페다고지를 동시에 갖기(뉴질랜드)’, ‘구체적인 실천과 물질성에 무게 두기(핀란드)’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페다고지라는 개념이 내포하고 있는 풍부한 의미의 다양성을 세 국가별 영유아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맥락들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페다고지라는 용어의 독특한 운동성을 읽어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faceted meanings and contextual uses of the term pedagogy in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from Australia, New Zealand, and Finland. To trace the complex and varied meanings of pedagogy, a transversal reading — reading the documents together-apart — was employed. Data analysis was understood as a recursive, generative, and interpretive proces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finitions of pedagogy as reflected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emphasized teacher professionalism as a blend of knowledge, practice, and creativity (Australia), fragments of meaning interwoven like a woven mat (New Zealand), and situated, value-oriented actions (Finland). Second, the relational context between pedagogy and teachers highlighted teachers’ embodied expertise (Australia), thoughtful and intentional pedagogical choices (New Zealand), and latent pedagogical possibilities working alongside the core curriculum (Finland). Third, each country's unique rearticulation of pedagogy included a focus on place-based and relational pedagogy (Australia), a coexistence of holistic and partial pedagogy (New Zealand), and an emphasis on materiality and concrete practices (Finland). By examining the rich semantic diversity embedded in the term pedagogy across these national contexts, this study offers insight into the dynamics and movement of pedagogy, contributing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its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표준국어대사전
- 한국교육정치학회
- 유아교육연구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 한국유아교육학회 춘계 학술대회
- 유아교육학논집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 교육혁신연구
- 국가법령정보센터
- 한국교원교육연구
- 국가법령정보센터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유아교육연구
- 기독교와 문화
- 유아교육학논집
- 한국 교원교육연구
- 한국유아교육연구
- 교육학논총
- 질적탐구
- 평생교육학연구
- 질적탐구
- Early Years: A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 Fast Capitalism
-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 Educational Philosophy & Theory
-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 Qualitative Inquiry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아버지 결혼만족도가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어린이, 그 보이지 않는 맥락들: 문화인류학적 시선과 질적연구의 역할
-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셀프리더십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