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흡연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attempts among adolescent smoker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재영(Jaeyoung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3호, 417~425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 흡연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을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제20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흡연청소년 2,419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흡연청소년의 금연시도 유무에 따른 일반적 특성, 흡연 특성 및 정신건강 특성의 차이는 복합표본설계 기술통계, 교차분석 및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금연시도 영향요인은 복합표본설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흡연청소년 중 금연시도 경험이 있는 경우는 65.8%, 없는 경우는 34.2%였다. 남자 흡연청소년의 금연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p<.001), 흡연유형(p<.001), 친구흡연(p=.005), 금연교육경험(p<.001)이었다. 여자 흡연청소년의 금연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친구흡연(p=.006), 금연교육경험(p<.001)이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흡연청소년을 위한 금연 지원 전략에서 성별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금연 프로그램은 실질적인 금연 지원을 제공해야 하며, 남녀 흡연청소년의 금연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반영한 다각적 접근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과 흡연율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attempts among smoki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using data from the 20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Methods A total of 2,419 smoking adolescents who met the study criteria were analyzed.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smoking-related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based on smoking cessation attempts were examined using complex sample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es. Additionally,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attempts. Results Among the smoking adolescents, 65.8% had attempted to quit smoking, while 34.2% had not. For male adolescent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attempts included age (p < .001), smoking type (p < .001), friends' smoking status (p = .005), and experience with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 < .001). For female adolescents, significant factors were friends' smoking status (p = .006) and smoking cessation education experience (p < .001).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gender-specific interventions in smoking cess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These programs should go beyond simple prevention education and consider the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decisions in both boys and girls. A multifaceted approach can help foster healthy lifestyles and reduce smoking rates among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영(Jaeyoung Lee). (2025).흡연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3), 417-425

MLA

이재영(Jaeyoung Lee). "흡연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3(2025): 417-4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