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08~2024년(11월) 발행된 국내 학술 연구물을 대상으로

이용수  310

영문명
Research Trends Analyze in the College of Liberal Major: Focus on Research Papers from 2008 to November 2024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민영(Minyoung Jung) 임소정(Sojeong L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535~54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연구목적은 전공자율선택제(자유(율)전공, 학생설계융합전공 등)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자료로 하여 동향을 파악하고, 추후 수행되어야 할 연구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분석자료 수집단계에 따라 2008~2024년(11월)까지 발행된 39편의 연구물을 분석자료로 선정하였다. 다섯가지 분석준거(발행편수, 연구목적,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를 사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 기술통계 및 시각화 자료 생성에 ‘EXCEL’과 빅데이터 분석도구 ‘텍스톰’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전공자율선택제 관련 연구는 교육부 정책 동향에 따라 급증하는 추세이다. 둘째, 실증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여 이론연구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주로 학생과 문서가 연구대상으로 설정되었다. 넷째, 문헌분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타 연구방법(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기타) 비율은 비교적 유사한 수치를 보인다. 다섯째, 전공자율선택제 관련 주제어가 혼재되어 연구 방향성 정립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결론 첫째, 교육학계의 연구자들이 연구주제 설정을 교육정책 흐름에 의존하는 경향이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연구목적의 불균형적 현상을 개선하고 이론연구의 보완을 기반으로 다양한 시각의 실증연구도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연구대상과 연구방법론적 균형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분석준거의 제한성과 분석자료를 국내 연구물에 한정하였다는 점을 지적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전공자율선택제 관련 최초의 연구동향분석이라는 점과 향후 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자료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deriv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data of previous studies on the college of liberal major. Methods According to the analysis data collection stage, 39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08 to 2024 (November) were selected as analysis data.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using five analysis criteria. As research tools, ‘EXCEL’ and big data analysis tool ‘Textom’ were used to generate descriptive statistics and visualization data. Results First, research on the college of liberal major is rapidly increasing in line with the policy trend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most of the research is empirical, so theoretical research needs to be supplemented. Third, students and literature were mainly set as research topics. Fourth, literature analysis accounts for the largest proportion, and the proportions of other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others) are relatively similar. Fifth, keywords related to the college of liberal major are mixed, so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directions. Conclusions First, the tendency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depend on the flow of educational policies to set research topics should be improved. Second, the imbalance of research goals should be improved, and empirical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supplementation of theoretical research. Third, balance in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ology should also be achieved. This study may be criticized for the limitations of the analysis criteria and the fact that the analysis data is limited to domestic research, but it is valuable in that it is the first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college of liberal major, and it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to activate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동향분석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민영(Minyoung Jung),임소정(Sojeong Lim). (2025).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08~2024년(11월) 발행된 국내 학술 연구물을 대상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535-548

MLA

정민영(Minyoung Jung),임소정(Sojeong Lim).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08~2024년(11월) 발행된 국내 학술 연구물을 대상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535-5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