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2.0)에 참여한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20

영문명
The Effect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digital detox, and self-control on mental health among adult college students in the LiFE2.0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봉환(BongHwan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39~4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2.0)에 참여한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강원 소재 G대학에 재학중인 성인학습자 대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2024년 6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과 정신건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디지털디톡스 및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먼저 스마트폰 과의존이 투입되었을 때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10.8%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디지털디톡스가 추가되어 2.4% 증가한 13.2%의 설명력이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자기통제력이 추가되어 20.8% 증가한 34.0%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가 자기통제력과 함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과 디지털디톡스의 확대 및 자기통제력 수준의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성인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상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지원과 활동에 대한 정책 제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college stud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digital detox,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June 1st to June 20th, 2024, targeting a total of 247 adult college students from G Universit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digital detox,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we conducted analyses including mea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adult college stud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digital detox,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ir smartphone overdependence, digital detox, and self- control on their mental health and found that smartphone overdependence had 10.8% of influence on their mental health.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to 13.2% up by 2.4% after invasion of digital detox were added. It rose to 34.0% up by 20.8% with the addition of self-control.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dult college stud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igital detox can affect mental health along with self-control. Through this, it is required to prepare measures to prevent adult college stud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expand digital detox, and improve their level of self-control.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nt policies for support and activities that can reduce mental health problems of adult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봉환(BongHwan Park). (2025).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2.0)에 참여한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39-48

MLA

박봉환(BongHwan Park).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2.0)에 참여한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39-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