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rratum]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태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181~19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kinds of hedge use issues that Korean college EFL learners encounter when writing formally and then investigate the causes of those issues. In order to find out why Korean English language learners use particular hedging devices, this qualitative study asked them what influences their decision-making. Methods With 31 participants, this study employed two instruments: single-paragraph formal writing and one- on-one interviews. The single-paragraph writing assignment aimed to collect data that allows me to assess how appropriately the participants use hedging devices in formal writing. In the subsequent interviews, which were based on the writing task data, students were asked why they chose certain lexical items that hurt the formality of their writing. Results The findings of the writing task are characterized as the overuse of indefinite pronouns, the underuse of modal verbs, and the misuse of adverbs of possibility.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students in the study had a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between spoken and written registers. They also had little under standing of how modal verbs function as a hedge in formal writing. Conclusions On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focus of EFL instruction should be to assist students in expand ing their usage repertoire of each modal verb so they can fully understand every possible job that modals can perform.

영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 대학 EFL 학습자들이 격식체 글쓰기에서 보이는 헤지(hedge) 사용의 문제들을 알아보고, 나아가 그런 문제를 야기하는 배경을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다. 방법 31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두 가지 도구를 사용하였다: 한 문단 격식체 글쓰기, 일대일 인터뷰. 한 문단 글쓰기 과제를 통해서, 참가자들이 얼마나 적절하게 헤지를 격식체 글쓰기에서 사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인터뷰에서는 참가자들이 격식 체 글쓰기의 격식을 깨는 어휘나 표현을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질문하였다. 결과 글쓰기 과제에서 드러난 헤지와 관련된 두드러진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부정 대명사(indefinite pronouns)의 과다사용, 조동 사(modal verbs)의 과소 사용, 가능성 부사(adverbs of possibility)의 오용. 인터뷰를 통해서, 상당수 참가자의 구어체와 문어체 간의 차이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격식체 글쓰기에서 헤지로 사용하는 조동사의 쓰임에 대해서 상당수 참가 자들의 이해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결론 본 연구가 교실 현장 수업에 시사하는 한 가지는, EFL 수업에서는 조동사의 중요성을 비중있게 다루면서, 학생들이 각 조동사 의 유용한 쓰임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이런 지도를 통해서 학생들은 주어진 맥락에서 헤지가 필요할 때 적격인 조동 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Introduction / Previous Studies
Ⅱ. Method
Ⅲ. Findings
Ⅳ.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태현. (2025).[Erratum]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181-195

MLA

박태현. "[Erratum]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181-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