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343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 Controll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Job Projects for the Elder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영현(Yeonghyeon Yu) 최웅용(Woongyong Cho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853~86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와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구소재의 시니어클럽과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357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Process Macro Model 1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인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 노후준비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각 변수 수준이 낮아지며,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이 참여하지 않는 노인보다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 노후준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노후준비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자기효능감, 노후준비,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의 관계를 분석하여 노인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육 및 상담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노후준비를 통해 노년기 행복감을 증진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체계적인 노후준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아울러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노인 복지정책의 효과성을 강조하고, 향후 노인 일자리 사업 확대 및 정책적 지원 강화를 위한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job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ien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400 elderly people who used senior clubs and senior welfare centers in Daegu, and 357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for SPSS V3.5 Model 1.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examination of the elderly,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and retirement preparation were higher in women than men. Also, the younger you are, the lower all variables are,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job program had higher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and retirement preparation than the elderly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retirement preparat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job program showed a moderating effect.
Conclusion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retirement preparation, and elderly job participation, which a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re understood in depth, and based on thi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customized education and counseling strategies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systematic retirement education program is suggested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revealing that old age happiness can be improved through retirement preparation. In addit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effectiveness of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by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job program, and provides the basis for expanding the elderly job program and strengthening policy support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rratum]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내러티브 접근의 진로상담 개입에 관한 탐색적 논의
- 영아교사의 자기자비와 완벽주의 성향이 사회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단절에 의한 상실 경험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순차적 매개효과와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xtreme Ownership으로 바라본 거점 행동중재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적응행동 개선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수업 개발
-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 프로그램 개발: 보호관찰청소년을 중심으로
- K-POP 뮤직비디오를 통한 학습자 참여형 한국 문화교육 방안: BTS <봄날>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영재 상담 연구 동향 분석
- 대안교육기관 제주 볍씨학교 운영 사례연구: 지역사회와의 공존적 관점에서
- 간호대학생의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액션 러닝 기반
- 연극⋅영화 연기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형태소 인식 양상 연구
- 영국 엘리자베스 1세의 성장기 교육에 관한 연구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08~2024년(11월) 발행된 국내 학술 연구물을 대상으로
-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의 특성 분석: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을 중심으로
- 중년 혈액투석 남성환자의 증상, 사회적지지가 자가간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중등 교사들을 위한 AI-TPACK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PCK에 기반한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임용시험 문항 출제 경향 분석: 2020~2025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경기도 소규모 행복초등학교의 특성을 살린 교육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 주의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효과
- 도덕과 다문화 교육에서의 경청의 윤리
-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 성향의 매개효과와 전공계열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 한국어교육용 챗봇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과 활용 방안
-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2.0)에 참여한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중등수학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별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 중학생의 학생역량에 미치는 요인 분석: 경상남도지역 중심으로
- 혁신교수법과 전통적 교수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원의 교수역량 차이 분석: M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다문화 학생’들의 일반 학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선행 연구 종합과 결핍 서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보육교사의 교권침해 사례와 교권보호 지원 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fessional Adaptation of Novice Music Teachers in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s
- 무전공 입학 정책 방안을 위한 대학 신입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준비 차이 및 요구도 분석
-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발달평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6호 목차
- The Influence of Marginalized Position on English Learners’ Investment Constructions: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중등 기술교육 분야 설계⋅개발 연구에 관한 통합적 고찰
- 중년 남성의 갱년기, 외로움, 우울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및 균형의 조절효과
- 장애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교과 및 학습 영역 중재 효과 연구: 메타분석
-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교육의 효과성 검증: 학습법 교육과의 비교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권리 연구 의미연결망 및 토픽 모델링 분석: 2000년 ~ 2024년까지
- 간호 조직문화 유형이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관계 분석
- 대학기관연구(IR)에서 학생중심교육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활용 사례 연구: S대학을 중심으로
- 민간기관 직업상담사가 지각한 직업상담 성과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 분석: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 밑줄 긋기 단서 제공 유무에 따른 고등학생의 읽기 이해 차이
- 그림책 관련 문헌연구 동향 분석: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관점에서 2022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 플립드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운영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각장애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2020년~2024년‘시각장애연구’발행호를 중심으로)
- 오케스트라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점자교원 자격제도 및 점자능력 검정시험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