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밑줄 긋기 단서 제공 유무에 따른 고등학생의 읽기 이해 차이
이용수 35
- 영문명
-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or Without Underlining Clu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민(Jimin Kim) 박영민(Youngmi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79~9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밑줄 긋기 단서 제공 유무에 따른 고등학생의 읽기 이해 차이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밑줄과 같은 텍스트 단서가 읽기 전략이 부족한 학생들의 읽기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학생들에게 친숙한 밑줄 긋기를 텍스트 단서로 활용하여 읽기 능력이 우수한 집단과 미숙한 집단의 읽기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고등학생을 밑줄 긋기 단서 제공 유무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읽기 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명문의 중심 문장에 밑줄을 그어 제공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중심 내용 이해, 세부 내용 이해, 체감 난도에 대한 선다형 문항의 읽기 이해 검사를 수행하였다. 수집한 읽기 이해 검사 결과를 t-test, 효과 크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읽기 수준과 무관하게 밑줄 긋기 단서의 효과는 중심 내용 파악과 세부 내용 파악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읽기 수준 상 집단에서 중심 내용 파악과 세부 내용 파악에 대한 밑줄 긋기 단서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읽기 수준 하 집단에서 중심 내용 파악에 대한 밑줄 긋기 단서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세부 내용 파악에 대한 밑줄 긋기 단서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읽기 수준과 무관하게 체감 난도에 미치는 밑줄 긋기 단서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읽기 수준 상⋅하 각 집단에서 밑줄 유무에 따른 체감 난도의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밑줄 긋기 단서는 읽기 수준 하 집단에서 중심 내용 파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는 읽기 부진 학생을 포함한 읽기가 미숙한 학생들에게 읽기 자료를 제시할 때 중심 문장에 밑줄을 그어 제공함으로써 중심 내용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읽기의 핵심 목표는 중심 내용 파악이다. 읽기가 미숙한 학생들은 문장 중요도 평정 능력 또한 낮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중심 문장에 밑줄을 그어 제공하면 중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밑줄 긋기 단서는 읽기 부진 학생을 포함한 읽기가 미숙한 학생들이 독립적인 읽기 활동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고, 읽기 능력이 우수한 집단과 미숙한 집단의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underlining cues on reading comprehens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aiming to determine if such typographical cuing can aid students with limited reading strategies and reduce the reading gap between proficient and struggling reader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on high school students, dividing them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nderlining cues. One group was provided with expository texts where the main sentences were underlined, while the other group received the same texts without underlin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consisted of multiple-choice questions assessing understanding of main ideas, detailed content, and perceived difficulty. The collected 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effect size measurements.
Results First, the effect of underlining cu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main idea comprehension and detail comprehension, regardless of reading proficiency levels. Second, in the high-level reading group, the effect of underlining cues on both main idea and detail comprehen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 the low-level reading group, the effect of underlining cues on main idea comprehen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it was not significant for detail comprehension. Third, the effect of underlining cues on perceived difficul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less of reading level. Similar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difficulty betwee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underlining within both the higher- and lower-level groups.
Conclusions Underlining cues significantly aided low-level readers in identifying main ideas, suggesting that providing underlined topic sentences in reading materials can support students with low reading ability, including those struggling with reading. This approach may help bridge the gap between proficient and low reading ability, supporting their progress towards independent read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rratum]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내러티브 접근의 진로상담 개입에 관한 탐색적 논의
- 영아교사의 자기자비와 완벽주의 성향이 사회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단절에 의한 상실 경험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순차적 매개효과와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xtreme Ownership으로 바라본 거점 행동중재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적응행동 개선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수업 개발
-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 프로그램 개발: 보호관찰청소년을 중심으로
- K-POP 뮤직비디오를 통한 학습자 참여형 한국 문화교육 방안: BTS <봄날>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영재 상담 연구 동향 분석
- 대안교육기관 제주 볍씨학교 운영 사례연구: 지역사회와의 공존적 관점에서
- 간호대학생의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액션 러닝 기반
- 연극⋅영화 연기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형태소 인식 양상 연구
- 영국 엘리자베스 1세의 성장기 교육에 관한 연구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08~2024년(11월) 발행된 국내 학술 연구물을 대상으로
-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의 특성 분석: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을 중심으로
- 중년 혈액투석 남성환자의 증상, 사회적지지가 자가간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중등 교사들을 위한 AI-TPACK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PCK에 기반한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임용시험 문항 출제 경향 분석: 2020~2025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경기도 소규모 행복초등학교의 특성을 살린 교육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 주의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효과
- 도덕과 다문화 교육에서의 경청의 윤리
-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 성향의 매개효과와 전공계열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 한국어교육용 챗봇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과 활용 방안
-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2.0)에 참여한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중등수학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별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 중학생의 학생역량에 미치는 요인 분석: 경상남도지역 중심으로
- 혁신교수법과 전통적 교수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원의 교수역량 차이 분석: M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다문화 학생’들의 일반 학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선행 연구 종합과 결핍 서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보육교사의 교권침해 사례와 교권보호 지원 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fessional Adaptation of Novice Music Teachers in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s
- 무전공 입학 정책 방안을 위한 대학 신입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준비 차이 및 요구도 분석
-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발달평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6호 목차
- The Influence of Marginalized Position on English Learners’ Investment Constructions: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중등 기술교육 분야 설계⋅개발 연구에 관한 통합적 고찰
- 중년 남성의 갱년기, 외로움, 우울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및 균형의 조절효과
- 장애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교과 및 학습 영역 중재 효과 연구: 메타분석
-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교육의 효과성 검증: 학습법 교육과의 비교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권리 연구 의미연결망 및 토픽 모델링 분석: 2000년 ~ 2024년까지
- 간호 조직문화 유형이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관계 분석
- 대학기관연구(IR)에서 학생중심교육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활용 사례 연구: S대학을 중심으로
- 민간기관 직업상담사가 지각한 직업상담 성과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 분석: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 밑줄 긋기 단서 제공 유무에 따른 고등학생의 읽기 이해 차이
- 그림책 관련 문헌연구 동향 분석: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관점에서 2022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 플립드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운영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ese Marxism studies Vol.2 No.6 Contents
- 新时代推进“四下基层”的逻辑出场、基本经验与实践路径
- 智能时代高校学生党建思想建设策略探究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