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교육의 효과성 검증: 학습법 교육과의 비교 연구

이용수  36

영문명
The Effectiveness of Self-Regulation Train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A Comparison with Study Skills Train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원(Jiwon Kim) 이슬아(Seul-Ah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585~59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사경고를 받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 훈련 프로그램과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기조절 훈련 집단(n = 25)과 학습기술 훈련 집단(n = 25)에 참여한 총 50명 참여자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개입 전후에 자기조절,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관리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학업 성취도(GPA)는 개입 전과 프로그램 종료 6개월 후에 평가하였다. 결과 자기조절 프로그램 집단은 자기조절의 일부 측면에 대해 중간 정도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목표추구와 관련된 자기조절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습법 프로그램 집단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자기조절의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프로그램 전후의 학점 변화에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단회의 자기조절 프로그램이 학사경고를 받은 대학생들의 자기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비록 학업 성취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이 개입은 학사경고 대학생들의 어려움을 지원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개입을 실시하여 본 연구 결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elf-regulation training program compared to a study-skills training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Methods A total of 50 stude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self-regulation training group (n = 25) or the study-skills training group (n = 25). Self-regul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management scores were measured pre- and post-intervention. Additionally, participants’ GPA data were assess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six months after the program concluded. Results The self-regulation training group showed moderate improvements in self-regulation-related outcomes. Specifically,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in goal pursuit and related variabl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impulse control and self-confidence scores. The study-skills group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regulation-related measures.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GPA)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single-session self-regulation training program can effectively enhance self-regulation abilities among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While the intervention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academic achievement, it shows promise as a supportive tool for addressing the challenges faced by these student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long-term and multi-session interventions to further validate these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원(Jiwon Kim),이슬아(Seul-Ah Lee). (2025).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교육의 효과성 검증: 학습법 교육과의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585-597

MLA

김지원(Jiwon Kim),이슬아(Seul-Ah Lee).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교육의 효과성 검증: 학습법 교육과의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585-5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