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 분석: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이용수 17
- 영문명
- An analysis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a for Soviet-Koreans in the Former Soviet Union after Liberation: Centered o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49)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52)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현아(Hyeonah O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49~6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에서는 옛 소련에서 1939년 민족어 교육이 금지되고 1940년대 말 민족어 교육이 다시 부활되면서 1949년과 1952년에 출간된 옛 소련 고려인의 조선어 교육과정인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당시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의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옛 소련의 1938년 민족어 교육 금지 이후 1949년 민족어 교육이 부활하면서 당시 교육과정인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의 주요 내용인 ‘조선어 교수 세목’ 의 목표 및 영역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에서는 저자명인 ‘김병하’, 교열자명인 ‘마주르’가 제시되었으나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에서는 제시되지 않았을 뿐, 교수 시간 배정, 민족 소학교 각 과목별 연간 시수, 조선어 교수 시간 배정 역시 동일하였다. 또한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 모두 본문 36면으로 분량과 그 내용이 동일하였다. ‘제 일학년, 견학, 관찰 및 실험, 제 Ⅱ학년, 견학, 관찰과 실지 작업, 제 Ⅲ학년, 견학, 관찰 및 실제 작업, Ⅱ학년, Ⅲ학년’에서는 조선어 교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이는 내용을 다루고 있어 조선어 교과가 통합 교과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로 ‘독법 > 문법과 정섯법 > 습자 > 언어의 발전(담화)’ 순의 비중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독법, 문법과 정섯법’에 대한 교육 내용이 전 학년에 걸쳐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의 특성으로는 ‘통합 교과’, ‘독법, 문법과 정섯법 강조’, ‘독법, 구술과 섯법언어의 발전 영역에서의 교수법 제시’를 꼽을 수 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모어교육사, 국어교육사 차원에서 한반도를 넘어선 재외 한인의 민족어 교육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귀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사회통합 관점에서 한반도에 정착한 고려인의 한국 사회 적응 과정에서 이남 사람들의 고려인에 대한 이해 및 인식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the former Soviet Union, which was published in 1949 and 1952,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49)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52),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analyze the change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the organization of the Soviet-Korean language curriculum,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49)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52), which were revived in 1949 after the Soviet Union banned national language education in 1938. In Chapter 3, I examine the main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49)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52), including the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of Korean language teaching, categorized into 1) reading, 2) grammar and orthography, and 3) the development of oral and written languag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uthor's name, Kim Byung-ha, and the instructor's name, Mazur, were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49), but not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and that the allocation of teaching hours, the number of hours per year for each subject in the ethnic elementary schools, and the allocation of teaching hours for Korean language were the same. In addition, both the 1949 and 1952 version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were identical in length and content, with 36 pages. “First grade, field trip, observation and experiment, second grade, field trip, observation and field work, third grade, field trip, observation and actual work, and second and third grades” deal with content that does not seem directly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dicating that the Korean language cours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grated subject. It can be seen that each area has weight in the order of “reading> grammar and orthography> literacy> language development (discourse), and the educational content of “reading, grammar and orthography is emphasized throughout all grades. After lib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Soviet-Koryoin can be ‘integrated curriculum’, ‘emphasizing reading, grammar, and orthography’, and ‘presenting teaching methods in the area of reading and the development of oral and written languages’.
Conclu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valuabl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ethnic language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across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mother tongue education, and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Korean people in South Korea in the process of Soviet-Koreans's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tegr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 (1952)의 구성
Ⅲ.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의 특성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모어교육사
국어교육사(조선어교육사)
국어교육(조선어교육)
민족어 교육
고려인
조선어교수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
교육과정
독법
문법과 정서법
구술과 서법 언어의 발전
History of Mother Tongue Education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History of Joseo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Joseon Language Education
Ethnic Language Education
Soviet-Koreans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s (Grades I-IV)
curriculum
reading method
grammar and orthography
the development of oral and written languag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rratum]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내러티브 접근의 진로상담 개입에 관한 탐색적 논의
- 영아교사의 자기자비와 완벽주의 성향이 사회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단절에 의한 상실 경험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순차적 매개효과와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xtreme Ownership으로 바라본 거점 행동중재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적응행동 개선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수업 개발
-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 프로그램 개발: 보호관찰청소년을 중심으로
- K-POP 뮤직비디오를 통한 학습자 참여형 한국 문화교육 방안: BTS <봄날>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영재 상담 연구 동향 분석
- 대안교육기관 제주 볍씨학교 운영 사례연구: 지역사회와의 공존적 관점에서
- 간호대학생의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액션 러닝 기반
- 연극⋅영화 연기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형태소 인식 양상 연구
- 영국 엘리자베스 1세의 성장기 교육에 관한 연구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08~2024년(11월) 발행된 국내 학술 연구물을 대상으로
-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의 특성 분석: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을 중심으로
- 중년 혈액투석 남성환자의 증상, 사회적지지가 자가간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중등 교사들을 위한 AI-TPACK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PCK에 기반한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임용시험 문항 출제 경향 분석: 2020~2025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경기도 소규모 행복초등학교의 특성을 살린 교육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 주의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효과
- 도덕과 다문화 교육에서의 경청의 윤리
-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 성향의 매개효과와 전공계열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 한국어교육용 챗봇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과 활용 방안
-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2.0)에 참여한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중등수학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별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 중학생의 학생역량에 미치는 요인 분석: 경상남도지역 중심으로
- 혁신교수법과 전통적 교수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원의 교수역량 차이 분석: M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다문화 학생’들의 일반 학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선행 연구 종합과 결핍 서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보육교사의 교권침해 사례와 교권보호 지원 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fessional Adaptation of Novice Music Teachers in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s
- 무전공 입학 정책 방안을 위한 대학 신입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준비 차이 및 요구도 분석
-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발달평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6호 목차
- The Influence of Marginalized Position on English Learners’ Investment Constructions: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중등 기술교육 분야 설계⋅개발 연구에 관한 통합적 고찰
- 중년 남성의 갱년기, 외로움, 우울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및 균형의 조절효과
- 장애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교과 및 학습 영역 중재 효과 연구: 메타분석
-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교육의 효과성 검증: 학습법 교육과의 비교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권리 연구 의미연결망 및 토픽 모델링 분석: 2000년 ~ 2024년까지
- 간호 조직문화 유형이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관계 분석
- 대학기관연구(IR)에서 학생중심교육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활용 사례 연구: S대학을 중심으로
- 민간기관 직업상담사가 지각한 직업상담 성과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 분석: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 밑줄 긋기 단서 제공 유무에 따른 고등학생의 읽기 이해 차이
- 그림책 관련 문헌연구 동향 분석: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관점에서 2022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 플립드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운영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 동서양 사상에 기반한 인성교육 방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