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립드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운영 효과
이용수 23
- 영문명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Collaborative Group Study Educational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수경(Soo Kyung Yoo) 장지웅(Ji Woong Jang) 김선형(Sun H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773~79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교육모델 개발의 일환으로 플립드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을 개발하고 적용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개발 된 플리드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을 A대학교 프로그래밍 교과목 수업에 적용하여 15주간 운영하였다. 본 교육모델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참여한 학습자 20명의 학습자 수업저널, 그룹인터뷰, 수업평가회 자기평가 자료와 연구자의 수업 과정 중 수업 관찰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자료 전사 및 정리, 개방 코딩, 축코딩, 선택 코딩의 단계로 분석하였다.
결과 근거이론 분석 방법에 따라 초기 200개 이상의 개념을 비교분석하여 7개의 범주(상호작용, 학습방식, 문제해결, 학습효과, 학습태도, 감정정서, 교수학습 등)로 정리하였다. 축 코딩에서 학습자의 경험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을 히트맵으로 범주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 학습방식, 학습효과 등의 범주 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84). 학습자 학습경험 시계열 분석에서 초기적응 단계, 발전기, 심화기, 완성기의 4단계 발전양상이 나타났고 학습자의 초기 낮은 수준의 참여도와 자신감이 완성기에 이르러 프로그래밍 능력을 활용하여 실제 문제해결에 적용하는 성과로 나타나 본 교육모델이 협력적 학습을 통한 효과적 프로그래밍 교육이 가능함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결론 학습자 주도적인 플립드러닝 강의와 소규모 강의에서 강점을 갖는 협력적 그룹스터디 형식을 조합한 본 교육모델은 학생들의 강의 집중력 향상과 학생 주도적 활동을 통하여 공학 분야 교과목 강의에서 높은 학습 효율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lipped learning-based interactive group study education model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a self-directed learning education model for learners.
Methods This study applied the developed flipped learning-based collaborative group study education model to a programming course at University A for 15 week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education model, the learners’ class journals, group interviews, and self-evaluation data from class evaluation meetings of 20 participating learners, as well as the researcher’s class observation data during the course,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stages of data transcription and organization,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method.
Results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 more than 200 concep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itially and organized into 7 categories (interaction, learning style, problem solving, learning effect, learning attitude, emotion, teaching and learning, et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es in the process of learners’ experiences changing over time in the axial coding using a heat map, a high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ategories such as interaction, learning style, and learning effect (r>.84). In the time series analysis of the learner's learning experience, the four stages of development were shown: the initial adaptation stage, the development stage, the intensification stage, and the completion stage. The learner's initial low level of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turned into the achievement of applying programming skills to solving actual problems in the completion stage, which empirically proved that this educational model can provide effective programming educa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Conclusions This educational model, which combines learner-led flipped learning lectures and a collaborative group study format that has strengths in small-scale lectures, can achieve high learning efficiency in department of engineering education(Python programming education) by improving students' lecture concentration and student-led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rratum]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내러티브 접근의 진로상담 개입에 관한 탐색적 논의
- 영아교사의 자기자비와 완벽주의 성향이 사회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단절에 의한 상실 경험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순차적 매개효과와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xtreme Ownership으로 바라본 거점 행동중재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적응행동 개선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수업 개발
-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 프로그램 개발: 보호관찰청소년을 중심으로
- K-POP 뮤직비디오를 통한 학습자 참여형 한국 문화교육 방안: BTS <봄날>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영재 상담 연구 동향 분석
- 대안교육기관 제주 볍씨학교 운영 사례연구: 지역사회와의 공존적 관점에서
- 간호대학생의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액션 러닝 기반
- 연극⋅영화 연기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형태소 인식 양상 연구
- 영국 엘리자베스 1세의 성장기 교육에 관한 연구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08~2024년(11월) 발행된 국내 학술 연구물을 대상으로
-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의 특성 분석: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을 중심으로
- 중년 혈액투석 남성환자의 증상, 사회적지지가 자가간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중등 교사들을 위한 AI-TPACK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PCK에 기반한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임용시험 문항 출제 경향 분석: 2020~2025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경기도 소규모 행복초등학교의 특성을 살린 교육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 주의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효과
- 도덕과 다문화 교육에서의 경청의 윤리
-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 성향의 매개효과와 전공계열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 한국어교육용 챗봇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과 활용 방안
-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2.0)에 참여한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중등수학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별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 중학생의 학생역량에 미치는 요인 분석: 경상남도지역 중심으로
- 혁신교수법과 전통적 교수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원의 교수역량 차이 분석: M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다문화 학생’들의 일반 학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선행 연구 종합과 결핍 서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보육교사의 교권침해 사례와 교권보호 지원 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fessional Adaptation of Novice Music Teachers in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s
- 무전공 입학 정책 방안을 위한 대학 신입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준비 차이 및 요구도 분석
-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발달평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6호 목차
- The Influence of Marginalized Position on English Learners’ Investment Constructions: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중등 기술교육 분야 설계⋅개발 연구에 관한 통합적 고찰
- 중년 남성의 갱년기, 외로움, 우울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및 균형의 조절효과
- 장애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교과 및 학습 영역 중재 효과 연구: 메타분석
-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교육의 효과성 검증: 학습법 교육과의 비교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권리 연구 의미연결망 및 토픽 모델링 분석: 2000년 ~ 2024년까지
- 간호 조직문화 유형이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관계 분석
- 대학기관연구(IR)에서 학생중심교육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활용 사례 연구: S대학을 중심으로
- 민간기관 직업상담사가 지각한 직업상담 성과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 분석: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 밑줄 긋기 단서 제공 유무에 따른 고등학생의 읽기 이해 차이
- 그림책 관련 문헌연구 동향 분석: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관점에서 2022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 플립드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운영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각장애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2020년~2024년‘시각장애연구’발행호를 중심으로)
- 오케스트라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점자교원 자격제도 및 점자능력 검정시험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