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 프로그램 개발: 보호관찰청소년을 중심으로
이용수 24
-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Emotional Regulation Program in Academic Settings: Focusing on Youth under Prob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심효진(Hyojin Shim) 구지훈(Jihoon Koo) 김은빈(Eunbin Kim) 김우리(Woori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257~2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청소년을 위한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방법은 교수설계모형 중 가장 대표적인 ADDIE모형을 기반으로 분석단계, 설계단계, 개발단계, 평가단계로 이루어졌다. 분석단계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보호관찰청소년의 특성과 요구를 조사하고,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 프로그램 필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목적 및 세부내용에 관한 틀을 구체화하였다. 설계단계에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에 따른 차시를 구성하고 차시별 학습주제와 학습목표, 정서조절방법을 설정하였고, 개발단계에서 차시별 학습 목표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에서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6인의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이후 프로그램 타당도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최종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 사례연구, 인터뷰 결과를 통해 프로그램 설계전략을 도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설계 전략에 기반하여 보호관찰청소년이 학업상황에서 정서조절을 잘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초안을 구안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초안의 전문가 형성평가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넷째, 타당도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검증하였고, 보호관찰청소년을 위한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은 설명력, 유용력, 타당성, 이해도, 보편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하여 그들이 학업상황에서 정서조절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체험적⋅행동적⋅인지적⋅생리적 정서조절 접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교정복지 실천 현장에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한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otional regulation program for youth under probation in academic situation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for program development is based on the ADDIE model,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instructional design model, consisting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stages. In the analysis stage,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probation youth were investiga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emotional regulation program in academic situations were analyzed to concretize the framework for the program's objectives and details. In the design stage, lessons were structur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and learning topics, learning objectives, and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were established for each lesson. In the development stage, content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learning objectives for each lesson. In the evaluation stage, formative evaluations were conducted by six experts to verify the content's validity, and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Subsequently, the validity of the final program was verified using a validity assessment tool.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gram design strategie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case research, and Interview. Second, based on the program design strategies, an initial draft of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help probation youth regulate their emotions effectively in academic situations. Third, the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was derived based on the formative evaluation results from experts regarding the initial draft. Fourth, the program was verified using a validity assessment tool,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program for probation youth in academic situations was evaluated for explanatory power, usefulness, validity, comprehensibility, and universality.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robation youth and is designed to help them effectively regulate their emotions in academic situations, based on experiential, behavioral, cognitive, and physiological approaches to emotional regul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veloped a practically applicable program for correctional welfare practice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rratum]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내러티브 접근의 진로상담 개입에 관한 탐색적 논의
- 영아교사의 자기자비와 완벽주의 성향이 사회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단절에 의한 상실 경험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순차적 매개효과와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xtreme Ownership으로 바라본 거점 행동중재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적응행동 개선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수업 개발
-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 프로그램 개발: 보호관찰청소년을 중심으로
- K-POP 뮤직비디오를 통한 학습자 참여형 한국 문화교육 방안: BTS <봄날>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영재 상담 연구 동향 분석
- 대안교육기관 제주 볍씨학교 운영 사례연구: 지역사회와의 공존적 관점에서
- 간호대학생의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액션 러닝 기반
- 연극⋅영화 연기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형태소 인식 양상 연구
- 영국 엘리자베스 1세의 성장기 교육에 관한 연구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08~2024년(11월) 발행된 국내 학술 연구물을 대상으로
-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의 특성 분석: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을 중심으로
- 중년 혈액투석 남성환자의 증상, 사회적지지가 자가간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중등 교사들을 위한 AI-TPACK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PCK에 기반한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임용시험 문항 출제 경향 분석: 2020~2025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경기도 소규모 행복초등학교의 특성을 살린 교육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 주의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효과
- 도덕과 다문화 교육에서의 경청의 윤리
-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 성향의 매개효과와 전공계열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 한국어교육용 챗봇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과 활용 방안
-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2.0)에 참여한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중등수학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별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 중학생의 학생역량에 미치는 요인 분석: 경상남도지역 중심으로
- 혁신교수법과 전통적 교수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원의 교수역량 차이 분석: M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다문화 학생’들의 일반 학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선행 연구 종합과 결핍 서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보육교사의 교권침해 사례와 교권보호 지원 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fessional Adaptation of Novice Music Teachers in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6호 목차
- 무전공 입학 정책 방안을 위한 대학 신입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준비 차이 및 요구도 분석
-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발달평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 The Influence of Marginalized Position on English Learners’ Investment Constructions: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중등 기술교육 분야 설계⋅개발 연구에 관한 통합적 고찰
- 중년 남성의 갱년기, 외로움, 우울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및 균형의 조절효과
- 장애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교과 및 학습 영역 중재 효과 연구: 메타분석
-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교육의 효과성 검증: 학습법 교육과의 비교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권리 연구 의미연결망 및 토픽 모델링 분석: 2000년 ~ 2024년까지
- 간호 조직문화 유형이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관계 분석
- 대학기관연구(IR)에서 학생중심교육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활용 사례 연구: S대학을 중심으로
- 민간기관 직업상담사가 지각한 직업상담 성과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 분석: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 밑줄 긋기 단서 제공 유무에 따른 고등학생의 읽기 이해 차이
- 그림책 관련 문헌연구 동향 분석: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관점에서 2022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 플립드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운영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졸업대학 소재권역 간 첫 일자리 질의 차이와 영향요인: 성인 진로교육에 주는 함의
- LiFE사업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잠재유형 분석
- 원자력 발전, 근대화 담론, 그리고 사회-물질적 연결망의 학습 : 산업화 세대 원전 지지자들의 원전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