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이용수 80
- 영문명
- The Impact of the Mobile App ‘Human Anatomy Atlas’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of Human Anatomy: A Mixed Methods Stud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신우(Shinwoo Hwang) 강지영(Jiyoung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197~21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간호학은 인간 돌봄 과학으로 사람해부학에 대한 지식은 인간을 간호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자기주도학습, 학습 몰입, 학습 만족도를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학습 경험을 정성적으로 탐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수업이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된 2020년 2학기에 진행되었다. 15주 동안 온라인 강의 콘텐츠가 대학 학습관리시스템에 매주 업로드되었으며, 학생들은 ‘사람 해부 아틀라스’ 모바일 앱을 사용했다. 연구 대상자는 G 소재 간호학과 1학년 재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50명으로, 이들은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수업에 참여하며 앱을 사용했다. 자료 수집은 수업 종료 후 2021년 1월에 온라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앱 사용성 평가 후 자기주도학습, 학습 몰입, 학습 만족도를 온라인 설문조사로 측정하고, 성찰일지를 통해 학습 경험을 탐색했다. 혼합연구의 수렴적 병행 설계를 적용하여 양적 자료는 SPSS 23.0으로 분석하고, 질적 자료는 전통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결과 앱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는 100점 만점에 92.3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항목(내용의 사실성 92.5점, 접근성과 편의성 92.0점, 속도와 연결 91.3점, 전반적인 느낌 93.3점)도 모두 90점 이상이었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습 몰입(r=.72) 및 학습 만족도(r=0.77)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습 몰입과 학습 만족도(r=.71) 사이에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은 자기주도학습(β=.52)과 학습 몰입(β=.34) 이었고, 두 변수가 학습 만족도 65%를 설명하였다. 학습 경험은 3개의 중심주제, 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학생들은 “반복적으로 쉽고 재미있게 사람해부학을 공부할 수 있는 편리하고 유용한 모바일 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모바일 앱을 활용한 사람해부학 학습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간호대학생들에게 유용한 비대면 학습 방법이었으며, 학생들은 이를 통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람해부학을 학습하였다. 모바일 앱은 간호교육에 있어 유용한 학습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mixed method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 mobile anatomy app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Methods A convergent parallel mixed methods design was employed. Fifty first-year nursing students from B University in Gyeonggi-do, South Korea, utilized the “Human Anatomy Atlas” app during the 15-week fall semester of 2020. Data collection involved the use of online questionnaires and reflection diaries. Quantitative data underwent analysis using SPSS 23.0, while qualitative data were subjected to thematic analysis.
Results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app yielded a score of 92.3 out of 100, with all sub-items scoring above 90. Self-directed learn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rning flow (r=.72) and learning satisfaction (r=.77), as were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r=.71).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were self-directed learning (β=.52) and learning flow (β=.34), with these two variables explaining 65% of the variance in learning satisfaction. Three central themes and six sub-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data, with students describing their experience as “a convenient and useful mobile app that allows for easy and fun learning of human anatomy through repetition.”
Conclusions The mobile anatomy app allowed nursing students to practice and review core human anatomy with repeated use. Students learned anatomy conveniently, easily and efficient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y using the app as a non-face-to-face learning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rratum]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내러티브 접근의 진로상담 개입에 관한 탐색적 논의
- 영아교사의 자기자비와 완벽주의 성향이 사회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단절에 의한 상실 경험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순차적 매개효과와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xtreme Ownership으로 바라본 거점 행동중재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적응행동 개선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수업 개발
-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 프로그램 개발: 보호관찰청소년을 중심으로
- K-POP 뮤직비디오를 통한 학습자 참여형 한국 문화교육 방안: BTS <봄날>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영재 상담 연구 동향 분석
- 대안교육기관 제주 볍씨학교 운영 사례연구: 지역사회와의 공존적 관점에서
- 간호대학생의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액션 러닝 기반
- 연극⋅영화 연기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형태소 인식 양상 연구
- 영국 엘리자베스 1세의 성장기 교육에 관한 연구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08~2024년(11월) 발행된 국내 학술 연구물을 대상으로
-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의 특성 분석: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을 중심으로
- 중년 혈액투석 남성환자의 증상, 사회적지지가 자가간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중등 교사들을 위한 AI-TPACK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PCK에 기반한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임용시험 문항 출제 경향 분석: 2020~2025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경기도 소규모 행복초등학교의 특성을 살린 교육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 주의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효과
- 도덕과 다문화 교육에서의 경청의 윤리
-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 성향의 매개효과와 전공계열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 한국어교육용 챗봇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과 활용 방안
-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2.0)에 참여한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중등수학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별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 중학생의 학생역량에 미치는 요인 분석: 경상남도지역 중심으로
- 혁신교수법과 전통적 교수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원의 교수역량 차이 분석: M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다문화 학생’들의 일반 학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선행 연구 종합과 결핍 서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보육교사의 교권침해 사례와 교권보호 지원 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fessional Adaptation of Novice Music Teachers in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s
- 무전공 입학 정책 방안을 위한 대학 신입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준비 차이 및 요구도 분석
-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발달평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6호 목차
- The Influence of Marginalized Position on English Learners’ Investment Constructions: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중등 기술교육 분야 설계⋅개발 연구에 관한 통합적 고찰
- 중년 남성의 갱년기, 외로움, 우울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및 균형의 조절효과
- 장애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교과 및 학습 영역 중재 효과 연구: 메타분석
-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교육의 효과성 검증: 학습법 교육과의 비교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권리 연구 의미연결망 및 토픽 모델링 분석: 2000년 ~ 2024년까지
- 간호 조직문화 유형이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관계 분석
- 대학기관연구(IR)에서 학생중심교육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활용 사례 연구: S대학을 중심으로
- 민간기관 직업상담사가 지각한 직업상담 성과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 분석: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 밑줄 긋기 단서 제공 유무에 따른 고등학생의 읽기 이해 차이
- 그림책 관련 문헌연구 동향 분석: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관점에서 2022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 플립드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운영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