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이용수  80

영문명
The Impact of the Mobile App ‘Human Anatomy Atlas’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of Human Anatomy: A Mixed Methods Stud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황신우(Shinwoo Hwang) 강지영(Jiyoung K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197~21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간호학은 인간 돌봄 과학으로 사람해부학에 대한 지식은 인간을 간호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자기주도학습, 학습 몰입, 학습 만족도를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학습 경험을 정성적으로 탐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수업이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된 2020년 2학기에 진행되었다. 15주 동안 온라인 강의 콘텐츠가 대학 학습관리시스템에 매주 업로드되었으며, 학생들은 ‘사람 해부 아틀라스’ 모바일 앱을 사용했다. 연구 대상자는 G 소재 간호학과 1학년 재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50명으로, 이들은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수업에 참여하며 앱을 사용했다. 자료 수집은 수업 종료 후 2021년 1월에 온라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앱 사용성 평가 후 자기주도학습, 학습 몰입, 학습 만족도를 온라인 설문조사로 측정하고, 성찰일지를 통해 학습 경험을 탐색했다. 혼합연구의 수렴적 병행 설계를 적용하여 양적 자료는 SPSS 23.0으로 분석하고, 질적 자료는 전통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결과 앱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는 100점 만점에 92.3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항목(내용의 사실성 92.5점, 접근성과 편의성 92.0점, 속도와 연결 91.3점, 전반적인 느낌 93.3점)도 모두 90점 이상이었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습 몰입(r=.72) 및 학습 만족도(r=0.77)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습 몰입과 학습 만족도(r=.71) 사이에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은 자기주도학습(β=.52)과 학습 몰입(β=.34) 이었고, 두 변수가 학습 만족도 65%를 설명하였다. 학습 경험은 3개의 중심주제, 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학생들은 “반복적으로 쉽고 재미있게 사람해부학을 공부할 수 있는 편리하고 유용한 모바일 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모바일 앱을 활용한 사람해부학 학습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간호대학생들에게 유용한 비대면 학습 방법이었으며, 학생들은 이를 통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람해부학을 학습하였다. 모바일 앱은 간호교육에 있어 유용한 학습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mixed method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 mobile anatomy app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Methods A convergent parallel mixed methods design was employed. Fifty first-year nursing students from B University in Gyeonggi-do, South Korea, utilized the “Human Anatomy Atlas” app during the 15-week fall semester of 2020. Data collection involved the use of online questionnaires and reflection diaries. Quantitative data underwent analysis using SPSS 23.0, while qualitative data were subjected to thematic analysis. Results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app yielded a score of 92.3 out of 100, with all sub-items scoring above 90. Self-directed learn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rning flow (r=.72) and learning satisfaction (r=.77), as were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r=.71).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were self-directed learning (β=.52) and learning flow (β=.34), with these two variables explaining 65% of the variance in learning satisfaction. Three central themes and six sub-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data, with students describing their experience as “a convenient and useful mobile app that allows for easy and fun learning of human anatomy through repetition.” Conclusions The mobile anatomy app allowed nursing students to practice and review core human anatomy with repeated use. Students learned anatomy conveniently, easily and efficient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y using the app as a non-face-to-face learning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신우(Shinwoo Hwang),강지영(Jiyoung Kang). (2025).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197-211

MLA

황신우(Shinwoo Hwang),강지영(Jiyoung Kang).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197-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