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발달평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이용수  62

영문명
Survey on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Developing a Developmental Assessm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Early Detection of Children at Risk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지은아(Eun Ah Ji) 유미자(Mi Ja Yo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119~129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아동의 교육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 조기 개입을 위한 새로운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장애위험 영유아 발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방법 경기도, 충청남도 소재 보육교사 112명을 대상으로 장애위험 영유아 관련 교육 여부, 교육 경험, 교육의 필요성, 교육 주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Statistic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수의 값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항목별 응답 결과는 다중응답분석과 빈도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의 67.9%(76명)는 장애위험 영유아 교육 경험이 있었으며,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관찰 및 검사 도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54명(48.21%)으로 가장 높았고, 장애위험 영유아 교육프로그램의 주제는 전체 대상자의 60.7%가 ‘장애 위험 영유아의 조기 발견과 발달평가’를 선택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의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으며,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과 보육현장의 요구도를 조사하여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추후에 장애위험 영유아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다각적 요구도를 반영한 조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Children at Risk by Early childhood teacher,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arly detection of children at risk. and new search for early intervention, and to develop a development assessment program for children at risk.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arly childhood teacher in S-city, Gyeonggi-do & Chungcheongnam-do.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ose who agreed to the survey, and data were analyzed on a final 112 people. The collected data uses SPSS/WIN 23.0 statistical program. It was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ollected data. Results 67.9% (76 people) of the study had experience in education for children at risk, 54 (48.21%) had the highest educational demand for “observation and inspection tools for early detection of children at risk,” and 60.7% of the subjects chose “Early Detection and Development Assessment of children at risk.” Conclusions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need for a developmental evaluation program for early detection of children at risk. The results of this survey will ultimately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screening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은아(Eun Ah Ji),유미자(Mi Ja Yoo). (2025).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발달평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119-129

MLA

지은아(Eun Ah Ji),유미자(Mi Ja Yoo).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발달평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119-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