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이용수 86
- 영문명
-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nd Verification of Predictive Factors Based on the Trajectories of Adolesc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현(Jihyun Park) 김춘경(Choon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681~70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행돔문제를 학급 및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집단분류 예측요인을 파악함으로서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한 예방 및 감소를 위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에 표집된 초등학교 4-6학년 및 중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정서행동문제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성별로 분석였다. 분석 방법은 SPSS와 Mplu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성장혼합모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개인 및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종단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결과 각 변인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을 파악한 결과 남자초등학생의 내재화문제의 잠재집단은 4개, 남자초등학생의 외현화문제의 잠재집단은 3개, 여자초등학생의 내재화문제의 잠재집단은 4개, 여자초등학생의 외현화문제의 잠재집단은 2개, 남자중학생의 내재화문제의 잠재집단은 3개, 남자중학생의 외현화문제의 잠재집단은 2개, 여자중학생의 내재화문제의 잠재집단은 3개, 여자중학생의 외현화문제의 잠재집단은 3개가 확인되었다. 남자초등학생의 내재화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를 에측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그릿, 친구관게가, 남자초등학생의 외현화문제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그릿, 자아존중감, 친구관계가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여자초등학생의 내재화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그릿, 친구관게가 여자초등학생의 외현화문제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그릿, 친구관계, 교사관계가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남자중학생의 내재화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그릿, 자아존중감, 친구관계, 교사관계가, 남자중학생의 외현화문제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그릿, 자아존중감, 친구관계가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여자중학생의 내재화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그릿, 자아존중감, 친구관게가, 여자중학생의 외현화문제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그릿이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의 승산비가 잠재집단 별로 다름이 확인되었다.
결론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 및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든 대상에게 동일한 개입을 하기보다 학급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잠재집단별로 다른 개입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based on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differences by class and gender. Additional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redictive factors for group classification to explor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eventing and reducing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Methods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ere analyzed, targeting 4th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st to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examined by gender.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and Mplus programs, employing Growth Mixture Modeling (GMM)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LR) to longitudinally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esults The analysis of latent classes based on the trajectories of each variable revealed the following: four latent classes for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ree latent classes for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 latent classes for internalizing problems and two latent classes for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ee latent classes for internalizing problems and two latent groups for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ree latent classes for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in internalizing problems among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ed self-esteem, grit, and peer relationships, while predictors for externalizing problems included grit,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For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grit, and peer relationships significantly predicted internalizing problem group classifications, while self-esteem, grit,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s predicted externalizing problem group classifications. Among male middle school students, significant predictors for internalizing problems included grit, self-esteem,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s, while grit,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predicted externalizing problem groups.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ignificant predictors for internalizing problem group classifications included grit,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while grit was the sole significant predictor for externalizing problem group classificat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odds ratios of predictive factors for latent group classifica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iffer across groups.
Conclusions To reduce and prevent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findings suggest that targeted interventions tailored to latent groups based on class and gender differences are more effective than uniform interventions applied to all individua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한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rratum] Why Hedging Suffers in Formal Writing by Korean EFL Learners
-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내러티브 접근의 진로상담 개입에 관한 탐색적 논의
- 영아교사의 자기자비와 완벽주의 성향이 사회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단절에 의한 상실 경험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순차적 매개효과와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xtreme Ownership으로 바라본 거점 행동중재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적응행동 개선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수업 개발
-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 프로그램 개발: 보호관찰청소년을 중심으로
- K-POP 뮤직비디오를 통한 학습자 참여형 한국 문화교육 방안: BTS <봄날>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영재 상담 연구 동향 분석
- 대안교육기관 제주 볍씨학교 운영 사례연구: 지역사회와의 공존적 관점에서
- 간호대학생의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액션 러닝 기반
- 연극⋅영화 연기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형태소 인식 양상 연구
- 영국 엘리자베스 1세의 성장기 교육에 관한 연구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08~2024년(11월) 발행된 국내 학술 연구물을 대상으로
-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모바일 앱 ‘사람 해부 아틀라스’가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의 특성 분석: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을 중심으로
- 중년 혈액투석 남성환자의 증상, 사회적지지가 자가간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중등 교사들을 위한 AI-TPACK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PCK에 기반한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임용시험 문항 출제 경향 분석: 2020~2025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경기도 소규모 행복초등학교의 특성을 살린 교육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 주의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효과
- 도덕과 다문화 교육에서의 경청의 윤리
-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 성향의 매개효과와 전공계열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 한국어교육용 챗봇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과 활용 방안
-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2.0)에 참여한 성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디지털디톡스, 자기통제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중등수학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별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 중학생의 학생역량에 미치는 요인 분석: 경상남도지역 중심으로
- 혁신교수법과 전통적 교수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원의 교수역량 차이 분석: M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다문화 학생’들의 일반 학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선행 연구 종합과 결핍 서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보육교사의 교권침해 사례와 교권보호 지원 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fessional Adaptation of Novice Music Teachers in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s
- 무전공 입학 정책 방안을 위한 대학 신입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준비 차이 및 요구도 분석
-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발달평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6호 목차
- The Influence of Marginalized Position on English Learners’ Investment Constructions: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중등 기술교육 분야 설계⋅개발 연구에 관한 통합적 고찰
- 중년 남성의 갱년기, 외로움, 우울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및 균형의 조절효과
- 장애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교과 및 학습 영역 중재 효과 연구: 메타분석
-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교육의 효과성 검증: 학습법 교육과의 비교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권리 연구 의미연결망 및 토픽 모델링 분석: 2000년 ~ 2024년까지
- 간호 조직문화 유형이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관계 분석
- 대학기관연구(IR)에서 학생중심교육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활용 사례 연구: S대학을 중심으로
- 민간기관 직업상담사가 지각한 직업상담 성과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 분석: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 밑줄 긋기 단서 제공 유무에 따른 고등학생의 읽기 이해 차이
- 그림책 관련 문헌연구 동향 분석: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관점에서 2022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 플립드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운영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