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이용수  86

영문명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nd Verification of Predictive Factors Based on the Trajectories of Adolesc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지현(Jihyun Park) 김춘경(Choonkyung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681~70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행돔문제를 학급 및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집단분류 예측요인을 파악함으로서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한 예방 및 감소를 위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에 표집된 초등학교 4-6학년 및 중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정서행동문제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성별로 분석였다. 분석 방법은 SPSS와 Mplu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성장혼합모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개인 및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종단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결과 각 변인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을 파악한 결과 남자초등학생의 내재화문제의 잠재집단은 4개, 남자초등학생의 외현화문제의 잠재집단은 3개, 여자초등학생의 내재화문제의 잠재집단은 4개, 여자초등학생의 외현화문제의 잠재집단은 2개, 남자중학생의 내재화문제의 잠재집단은 3개, 남자중학생의 외현화문제의 잠재집단은 2개, 여자중학생의 내재화문제의 잠재집단은 3개, 여자중학생의 외현화문제의 잠재집단은 3개가 확인되었다. 남자초등학생의 내재화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를 에측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그릿, 친구관게가, 남자초등학생의 외현화문제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그릿, 자아존중감, 친구관계가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여자초등학생의 내재화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그릿, 친구관게가 여자초등학생의 외현화문제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그릿, 친구관계, 교사관계가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남자중학생의 내재화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그릿, 자아존중감, 친구관계, 교사관계가, 남자중학생의 외현화문제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그릿, 자아존중감, 친구관계가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여자중학생의 내재화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그릿, 자아존중감, 친구관게가, 여자중학생의 외현화문제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그릿이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의 승산비가 잠재집단 별로 다름이 확인되었다. 결론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 및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든 대상에게 동일한 개입을 하기보다 학급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잠재집단별로 다른 개입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based on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differences by class and gender. Additional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redictive factors for group classification to explor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eventing and reducing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Methods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ere analyzed, targeting 4th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st to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examined by gender.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and Mplus programs, employing Growth Mixture Modeling (GMM)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LR) to longitudinally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esults The analysis of latent classes based on the trajectories of each variable revealed the following: four latent classes for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ree latent classes for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 latent classes for internalizing problems and two latent classes for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ee latent classes for internalizing problems and two latent groups for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ree latent classes for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in internalizing problems among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ed self-esteem, grit, and peer relationships, while predictors for externalizing problems included grit,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For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grit, and peer relationships significantly predicted internalizing problem group classifications, while self-esteem, grit,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s predicted externalizing problem group classifications. Among male middle school students, significant predictors for internalizing problems included grit, self-esteem,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s, while grit,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predicted externalizing problem groups.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ignificant predictors for internalizing problem group classifications included grit,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while grit was the sole significant predictor for externalizing problem group classificat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odds ratios of predictive factors for latent group classifica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iffer across groups. Conclusions To reduce and prevent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findings suggest that targeted interventions tailored to latent groups based on class and gender differences are more effective than uniform interventions applied to all individua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한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현(Jihyun Park),김춘경(Choonkyung Kim). (2025).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681-708

MLA

박지현(Jihyun Park),김춘경(Choonkyung Kim).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681-7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