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년 남성의 갱년기, 외로움, 우울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및 균형의 조절효과

이용수  103

영문명
Moder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bal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dropause, loneliness, and depression among middle-aged m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소희(Sohee Kim) 김은하(Eunha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451~46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남성 갱년기 증상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및 균형을 통한 외로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350명의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남성 갱년기 증상, 외로움, 기본심리적 욕구, 우울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3단계 회귀분석, Bootstrapping을 통해 분석하였고, SPSS Macro를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조절변인의 하위요인들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하는지도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그 결과, 먼저, 외로움이 남성 갱년기 증상과 우울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이 남성 갱년기 증상과 외로움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남성 갱년기 증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로움을 통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반해, 기본심리적 욕구 균형은 남성 갱년기 증상과 외로움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중 자율성과 유능성 충족은 남성 갱년기 증상과 외로움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였지만, 관계성 충족은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즉,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이 낮은 사람은 남성 갱년기 증상으로 인하여 외로움을 느끼고 우울에 취약하지만,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이 높은 사람은 남성 갱년기 증상이 있다 하더라도 외로움을 덜 느껴 우울에 취약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상담에서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bal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dropause and depression through loneliness. Methods To the end, we measured andropause, loneliness, basic psyhc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balance with 350 middle-aged men,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The analysis include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 three-step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while SPSS Macro was used to tes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d how sub-factors of the moderating variable contribute to the moderating effect.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loneli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dropause and depression. Seco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dropause and loneliness. Thir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was observed in the effect of andropause on depression through loneliness. In contrast, basic psychological need balance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dropause and loneliness. Finally, among the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utonomy and competenc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dropause and loneliness, while relatedness did not. Conclusions In conclusion, men with low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ended to feel lonelier and more vulnerable to depression due to andropause, while those with high needs satisfaction experienced less loneliness and were less susceptible to depression, even with menopausal sympto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희(Sohee Kim),김은하(Eunha Kim). (2025).중년 남성의 갱년기, 외로움, 우울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및 균형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451-468

MLA

김소희(Sohee Kim),김은하(Eunha Kim). "중년 남성의 갱년기, 외로움, 우울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적 욕구 충족 및 균형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451-4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