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POP 뮤직비디오를 통한 학습자 참여형 한국 문화교육 방안: BTS <봄날>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이용수  87

영문명
A study on learner-participatory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K-pop music videos: Focusing on BTS's music video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전하나(Hana Je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401~4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K-POP 뮤직비디오가 외국인들을 위한 한국 문화교육의 효과적인 교육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아 이를 활용한 한국 사회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뮤직비디오의 장르적 특성을 밝히고 대중문화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자 참여형 수업’의 원리로 수업 과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대중문화 텍스트 선정, 문화코드 추출, 문화의 콘텍스트 분석, 새로운 텍스트 생산’이라는 수업 진행 순서에 따라 뮤직비디오 교육 방안을 구체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대중문화의 ‘참여적 수용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결과 뮤직비디오의 장르적 특성 및 수업에서 선정된 텍스트의 내용적 특성에 맞게 수업 단계를 구체화하였다. 무엇보다 보기 후 활동에서는 수업에서 학습한 대중문화 텍스트와 학습자들이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자들 스스로 2차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대중문화 수업은 텍스트의 장르 및 내용적 특성에 맞게 수업이 설계되어야 하며, 학습자들은 대중문화 텍스트 분석을 통해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 및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대중문화의 ‘참여적 수용자’로서 수업 안에서 참여, 소통, 공유하며 궁극적으로는 상호문화적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K-pop music videos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ers. In particular, K-pop music videos can be effective materials for Korean social culture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music videos an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in order to organize the course curriculum based on the principle of ‘student participation-type classes.’ The music video education plan was specified according to the class progress order of ‘selecting a popular culture text, finding cultural codes, analyzing the cultural context, and producing new contents.’ Through this, it was expected that learners would be able to actively understand popular culture and grow into ‘participatory recipients’ of popular culture. Results The class stages were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video an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text selected in class. Above all, in the post-viewing activity, it was suggested that the learners produce secondary content on their own based on the popular culture texts learned in class and the content they researched.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opular culture classes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genre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a popular culture text, and that learners can improve their critical understanding of popular culture and digital literacy skills through analysis of popular culture texts.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hat learners would be able to participate, communicate, and share in class as ‘participation consumer’ of popular culture, and ultimately improve their intercultural cap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뮤직비디오의 특성 및 교육적 의의
Ⅲ.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학습자 참여형 교육 방안 탐색
Ⅳ.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문화교육의 실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하나(Hana Jeon). (2025).K-POP 뮤직비디오를 통한 학습자 참여형 한국 문화교육 방안: BTS <봄날>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401-419

MLA

전하나(Hana Jeon). "K-POP 뮤직비디오를 통한 학습자 참여형 한국 문화교육 방안: BTS <봄날>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401-4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