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55

영문명
Interpersonal Stress and Intention to Leave of Infant Teachers in Korea: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형성(Hyung Sung Cho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469~48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조직지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특히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의 조직지원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를 위해 전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넷 클라우드에 탑재된 설문조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유아교사 261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김경이(2012)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척도와 김경희(2017)의 조직지원 척도, 최형성(2015)의 이직의도 척도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결과 산출을 위해 종속변인을 중심으로 한 상관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조절효과 분석을 위해 통제변인을 통제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결과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조직지원은 이직의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지원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검증을 통해 조직지원은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조직지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조직지원의 조절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아교사의 이직의도 예방 및 감소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intention to leave of infant teachers in Korea,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61 infant teacher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online survey. The measures included interpersonal stress questionnaires(Kim, 2012), organizational support questionnaires(Kim, 2017), and intention to leave questionnaires(Choe, 2015). The coefficients of correlation analysis were examined. Also, the moderating effects were examin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fter controlling the control variables. Results Results were showed that intention to leave was correlated positively to interpersonal stress and was correlated negatively to organizational support. Also, Interpersonal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ention to leave and organizational support was negatively related to intention to leave.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intention to leave. Conclusions The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to reduce the intention to leave of infant teachers in Korea, helping us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형성(Hyung Sung Choe). (2025).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469-480

MLA

최형성(Hyung Sung Choe).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469-4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