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 학생’들의 일반 학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선행 연구 종합과 결핍 서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용수  94

영문명
A qualitative meta-analysis on the school experiences of Damunhwa students: Synthesizing the literature and challenging deficit narrativ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류영휘(Yeonghwi Ry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237~25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 학생들의 학교 경험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분야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방향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메타 분석을 통해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하였다: 1) 다문화 학생들의 일반 학교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한다; 2) 결핍 관점에 관한 이론적 논의에 기반하여, 다문화 학생 학교 경험 연구를 통해 순환하고 있는 결핍 서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결과 연구 결과,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에 관한 다양한 학교 경험 양상이 나타났으며, 이들의 학교 경험을 ‘다문화성’에 대한 귀인 하는 것을 넘어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이해해야 한다는 논의가 두드러졌다. 반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자녀들에게서는 학교 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이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연구에서 학교 교육 내 높은 장벽들 가운데 학생들의 전략적 행동 양상이 주목되기도 하였다. 연구물을 통해 재생산되는 다문화 학생에 대한 결핍 서사로는 다문화 학생의 ‘언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학교 부적응 서사와 다문화 학생 부모의 ‘무관심’으로 인한 학교 부적응 서사가 나타났으며, 각 서사가 구성되는 방식이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피해 중심 연구(damage-centered research)를 넘어 다층적이고도 모순적인 경험, 이를 통한 비전과 희망을 논의하는 욕망 기반 연구(desire-based research)로 다문화 학생 연구가 확장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며, 이를 위한 연구 설계와 방법을 논의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ynthesize previous research findings on the school experiences of ‘damunhwa students’ and to critically examine the literature to provide insights for the advancement of the field. Methods To achieve this, the study employs a qualitative meta-analysis with two primary objectives: (1) synthesizing research findings on the general school experiences of damunhwa students, and (2) critically examining the deficit narratives circulating within such research, grounded in theoretical discussions on deficit perspectives. Results The findings reveal diverse patterns in the school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s, emphasizing the need to move beyond viewing their school experiences solely through the lens of the “multicultural-ness” and instead consider these experiences within the context of multiple contributing factors. In contrast, children from recently immigrated or foreign national families were frequently documented as facing recurring challenges in education, with a few researchers noting their strategic responses to substantial barriers in school contexts. The study identifies two primary deficit narratives reproduced in the literature: (1) narratives of school maladjustment attributed to “language” deficiencies among damunhwa students, and (2) narratives of school maladjustment attributed to the “indifference” of their par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narratives are critically analyz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rgues for a shift from damage-centered research toward desire-based research that explores multilayered, contradictory experiences of damunhwa students and the visions and hopes embedded within these experiences. It further discusses research designs and methodologies necessary for such an expan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주 배경 학생에 대한 결핍의 서사: 분석을 위한 시사점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영휘(Yeonghwi Ryu). (2025).‘다문화 학생’들의 일반 학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선행 연구 종합과 결핍 서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237-256

MLA

류영휘(Yeonghwi Ryu). "‘다문화 학생’들의 일반 학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선행 연구 종합과 결핍 서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237-2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