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의 특성 분석: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80

영문명
Analyzing Problem-Solv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Process Data: Focusing on the Creative Thinking of PISA 2022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진수(Jinsu Choi) 정혜원(Hyewon Ch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317~33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PISA 2022(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22)의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을 정의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PISA 2022에서 고등학생이 창의적 사고력 영역의 문항을 풀이할 때 발생하는 과정적 정보인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문제 풀이 행동에 따른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서 K-means 군집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은 도전적 풀이 지수, 신속 추측 지수, 생략 지수의 3가지 특성을 반영한 지수를 정의하였고, 산출한 결과를 토대로 유형화한 결과, 창의적 사고력이 높은 그룹은 자신의 숙달도보다 난이도가 높은 도전적 문제 상황에서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문제를 풀이할 확률이 높았다. 한편 창의적 사고력이 낮은 그룹은 문항을 빠르게 추측하거나 생략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피험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인지적 행동 정보를 통해 피험자의 잠재적 행동 특성을 추론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학생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맞춤형 학습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nd analyze the problem-solv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process data in PISA 2022(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22). Methods To do this, process data was used, that is procedural information during high school students’ problem-solving activities in the creative thinking domain of PISA 2022. Also,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solving behavior, the K-means clustering method was applied. Results Problem-solving behavior was defined through indices reflecting three characteristics: the challenging problem-solving index, rapid-guessing index, and omission index. On the results of clustering, the group with high creative thinking skills was more likely to spend additional time solving challenging problems with difficulty levels. In contrast, the group with lower creative thinking skills showed a higher tendency to guess quickly or skip the items.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non-cognitive behavioral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students' lat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is information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personalized learning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수(Jinsu Choi),정혜원(Hyewon Chung). (2025).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의 특성 분석: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6), 317-336

MLA

최진수(Jinsu Choi),정혜원(Hyewon Chung).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문제 풀이 행동의 특성 분석: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6(2025): 317-3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