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基于教室物件的教育文化研究

이용수  0

영문명
The Educational Culture Based on Classroom Objects
발행기관
YIXIN 출판사
저자명
Xiong Heping
간행물 정보
『Semiotic Education Studies』Vol.2 No.2, 6~13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materialism, the “cultural turn” of educational research implies the emphasis on the material culture in the educational fields and the preference to object-state themes in educational activities. Classroom is the space where the object systems and their educational significance occur, moreover, they own cultural attributes. The studies of educational culture based on classroom objects focus on the on-site experienc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culture, and are essentially cultural practice researches. It is an interesting new field in the study of educational culture to interpret the cultural orientation and function of school education from the context of classroom object systems and their material states.

영문 초록

从文化唯物主义的立场来看,教育研究的“文化转向”意味着对教育场域中的物质性文化的重视,以及对教育活动中物态主题的偏好。教室是物体系及其教育意义发生的空间,它具有文化属性。基于教室物件的教育文化研究,重点关注教育与文化关系的现场经验,本质上是一种文化实践研究。从教室的物体系及其物态语境来诠释学校教育的文化定位与功能,是教育文化研究的一个颇有趣味的新领域。

목차

Ⅰ. 引言
Ⅱ. 文化研究的兴起及其对教育文化研究的影响
Ⅲ. 文化唯物主义视野下的教室
Ⅳ. 教室物件的文化研究意义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Xiong Heping. (2025).基于教室物件的教育文化研究. Semiotic Education Studies, 2 (2), 6-13

MLA

Xiong Heping. "基于教室物件的教育文化研究." Semiotic Education Studies, 2.2(2025): 6-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