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캡스톤디자인 교육을 통한 공연 제작 및 진행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이용수  0

영문명
Case Study on Performance Production and Performance Experience through Capstone Design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신민주(Min-Ju Sh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217~22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기획자를 꿈꾸는 대학생들의 실무능력 강화를 위해 공연 제작 및 진행을 위한 전공 분야에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을 적용하여 교과목을 운영하는 경험을 통해 대학생들에게 이러한 실제 현장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K대학교에 재학 중인 글로컬 문화학부 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링크 3.0 사업의 일환으로 2023학년 2학기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개설하고 운영하였으며 6회기에 걸친 심층 면담 자료들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결과물로는 서울에서 활동 중인 인디밴드를 초청하여 공연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공연을 관람한 학생들의 만족도 또한 높았지만 실제 공연의 기획 단계부터 마무리 과정을 팀원들과 직접 진행하며 좀 더 성장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공연기획자로서 필요한 실무현장을 경험하였다. 또한 첫 기획 단계부터 공연 마무리까지 전 과정에 관해 본 연구를 통해 캡스톤디자인은 대학생들에게 실제 전공역량을 키울 수 있는 경험의 경험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공연 기획 관련 산업체 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한 실무경험이 공연 제작과 및 진행을 통해 현장실무능력,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는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대학생들에게 학교의 교과목을 통한 역량강화도 중요하지만 실제 현장의 실무를 경험 할 수 있는 이러한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확대실시가 필요하며 본 연구가 공연 제작 및 진행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며 이러한 연구 과정이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 교과 운영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his practical field experience means to college students who dream of becoming performance planners by applying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capstone design to their major fields of study for performance production and execution in order to enhance their practical skills. Methods To this end, a channel course was opened and operated as a capstone design cours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3 as part of the Link 3.0 project with five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Global Culture at K University as the subjects, and the data from six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Results As a final result, we invited an indie band active in Seoul and held a performance. As a result,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ho watched the performance was high, but it w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grow more by directly going through the actual performance planning stage to the finishing process with their team members, and they experienced the practical field necessary as a performance planner.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on the entire process from the first planning stage to the finishing of the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capstone design was an experience that could develop actual major capabilities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professors, learners, and performance planning-related industries, and through the production and hosting of the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field work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improved. Conclusions I As a result, it is important for college students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through school subjects, but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implementation of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capstone design courses that allow them to experience actual field work.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students interested in performance production and execution, and that this research proces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operation of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capstone design cour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민주(Min-Ju Shin). (2025).캡스톤디자인 교육을 통한 공연 제작 및 진행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4), 217-227

MLA

신민주(Min-Ju Shin). "캡스톤디자인 교육을 통한 공연 제작 및 진행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4(2025): 217-2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