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Burnout and Recovery in Kindergarten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자(Yeon Ja Lee) 하요상(Yo Sang H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393~41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소진과 회복에 관한 경험을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S시와 D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직경력이 5년 이상 된 유치원교사 10명을 대상으로 2025년 1월 자료를 수집한 후 경험의 구체적인 의미와 본질을 발견할 수 있는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공통 경험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소진의 인식과 원인’, ‘소진의 양상’, ‘소진의 대처방법’, ‘소진과 회복 경험의 의미’의 총 4개의 상위주제와 ‘교육지도에서 느끼는 어려움’, ‘학부모와의 소통 및 관계 어려움’,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 등 13개의 하위주제, ‘유아의 지시 불이행 및 통제의 어려움’, ‘공격적인 유아 지도의 어려움’, ‘안전사고에 대한 과도한 책임요구와 날선 질책’ 등 26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소진과 회복에 관한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소진과 회복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기 위한 지원책들과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burnout and recovery experiences of kindergarten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10 kindergarten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orking in kindergartens in S City and D City in January 2025, and the subjects' common experiences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that can discover the specific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four upper-level themes were derived: ‘Perception and causes of burnout’, ‘Aspects of burnout’, ‘Coping methods for burnout’, and ‘Meaning of burnout and recovery experiences’; 13 sub-themes, including ‘Difficulties felt in educational guidanc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Concerns about safety accidents’; and 26 meaning units, including ‘Difficulties in controlling and failing to follow directions by young children’, ‘Difficulties in guiding aggressive young children’, and ‘Excessive demands for responsibility and sharp reprimands for safety accident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be helpful in seeking support measures and methods to promote a deeper understanding of burnout and recovery by specificall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kindergarten teachers regarding burnout and recove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지역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기반 교육(P3L)을 활용한 수업이 지역사회 이해, 지역사회 문제해결력, 협동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4호 목차
- 성장기 성차별을 경험한 기독 중년여성 사역자의 자존감 회복과 자아성장에 대한 자문화 기술지
- 유치원 교사의 소진과 회복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무전공 대학생의 CSI(Career Story Interview)활용 진로상담 사례연구: K대학을 중심으로
- 경험학습 모형을 적용한 C대학 현장연계 수업 참여 경험에 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연구
- 학습자 중심의 교양체육 수업 설계: 실천공동체(CoP)와 플립러닝의 통합적 접근
- 한국판 수정된 개별정서 척도(mDES)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 효과
- 인공적 도덕 행위자의 도덕 감정 설계에 대한 초등 도덕과 교과 토론 수업 적용 방안: 칸트, 밀, 콜버그를 중심으로
- 문화예술교육 기반 아침 교육활동(등굣길 음악회)를 지도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예술기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음악전공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진 경험에 대한 Giorgi 현상학적 연구
- 성소수자 자녀를 둔 부모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영유아교육기관의 자연생태놀이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관계상실경험자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 의미재구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 대학 교육에서 신입생의 행복 경험과 인식에 대한 연구
- The Effect of Counselor Communication Style on Adolescent Clients' Therapeutic Alliance and Counseling Satisfaction
- 노인의 사회적 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지역사회내 계속거주의 조절효과
- 개업상담자의 소명의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수행과 역할스트레스의 순차매개효과
- 고등학교 1학년 청소년의 우울과 학업무기력: 학업열의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 클리커 앱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 사례 연구: 토픽(TOPIK) 수업을 중심으로
-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및 세계시민성 비교
-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대인관계 문제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사교육 소비 현황과 수요 분석: 가구 소득 분위별 가격 탄력성을 중심으로
-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결혼만족도, 양육행동 간 관계: APIM 모형의 적용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문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5년부터 2024년까지
- 초등 예비 교사 대상 과학교육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쉴러의 『인간의 심성교육』을 중심으로 고찰한 실과 교육에서 감각교육의 중요성
- 캡스톤디자인 교육을 통한 공연 제작 및 진행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간호학과 만학도의 진로몰입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강점인식의 매개효과
- 장신(長身) 트라우마를 지닌 크리스찬 중년여성의 치유, 성장(成長)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한국 교환학생으로 참여한 중국 한국어학과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초⋅중⋅고등학생의 차별경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분석
- 아동학대 경험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를 활용한 분석
- 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위한 간호학과 교직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학습접근방식,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나타난 초등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표현정교화 특성
- 장애이해교육과 협력교수를 적용한 체육수업이 비장애중학생의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성별과 학년의 조절효과
- 진로탄력성의 개념, 구성요인, 척도개발에 관한 통합적 고찰: 국내⋅외 문헌비교를 중심으로
- 외상 사건을 경험한 만 18세 이상 성인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희망과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SDGs 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지속가능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아분화, 전공선택동기, 사회적지지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씽킹방법론을 적용한 대학생 창업 수업 경험의 텍스트마이닝 분석
- 전국 의과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 자기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Review on the Evaluation of Speech Acceptability in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
- A Literature Review of Speech-Language Characteristics in Semantic Variant Primary Progressive Aphasia
- Comparison of in-the-Ear Hearing Aids Made with Ear Impressions and Digital Medical Imaging: Preliminary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