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결혼만족도, 양육행동 간 관계: APIM 모형의 적용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Stress, Smartphone Overdependence,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of Working Parents: Application to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효식(Hyosik Choi) 연은모(Eun Mo Ye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59~7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모의 스마트폰 과의존, 결혼만족도,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를 검증하고,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 결혼만족도의 순차 매개를 통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방법 한국 영유아 교육⋅보육 패널 1차년도(2022년) 자료의 826쌍에 기초하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을 적용하였다. 자기-상대방 효과 크기 비교를 위해 차이검증을 사용했으며, 양육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결혼만족도, 양육행동 간 관련성 이해를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양육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자기 및 상대방효과가 있었다.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양육스트레스가 긍정적 양육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에 부적 상대방효과가 있었다.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자신의 결혼만족도와 긍정적 양육행동에 부적 자기효과가 있었다.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긍정적 양육행동에 대한 정적 자기효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정적 상대방효과가 확인되었다.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크기는 변인에 따라 차별적인 모습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 결혼만족도, 아버지 스마트폰 과의존을 매개로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 어머니와 아버지의 특성은 상호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의존적 관계이며, 특히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특성을 함께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ctor effects and the partner effects of parental stress of of dual-earner couples on par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fathers affect parenting behavior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arital satisfaction. Methods To analyze the data from 826 married couples from the 1st year (2022) of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Panel Study were used to perform the Actor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actor and the partner effects of parental stress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negatively significant for both mother and father. The actor effect of both mother and father's parental stress on parenting behavior was negatively significant whereas only the partner effect of father's parental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was negatively significant. The actor effect of fath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was negatively significant. The actor effect of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ing behavior and the partner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ing behavior was positively significant. The magnitudes of actor and the partner effect were varied depend on the variables. Second, both mother's and father's parental stress was negatively significant on father's parenting behavior through mediating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fath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both mother's and father's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the positive father's parenting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효식(Hyosik Choi),연은모(Eun Mo Yeon). (2025).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결혼만족도, 양육행동 간 관계: APIM 모형의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4), 59-74

MLA

최효식(Hyosik Choi),연은모(Eun Mo Yeon).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결혼만족도, 양육행동 간 관계: APIM 모형의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4(2025): 59-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