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모의 학교참여에 관한 학부모 및 교사의 인식 분석: 서울특별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arental Engagement in Schools: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City
- 발행기관
- 한국학부모학회
- 저자명
- 김명희 황성희 노혜림 심현기
- 간행물 정보
- 『학부모연구』제12권 제4호, 27~6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2016년, 2019년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학교 학부모회 설치 운영 및 학부모교육 지원 등에 관한 조례 제․개정 이후의 시점에서 학부모의 학교참여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609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부모 4,820명, 교사 1,49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87.6%가 학교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참여 유형으로는 설문조사나 수업 참관, 모니터링 활동에 적극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방법도 공식 및 비공식 조직보다는 비교적 참여가 쉬운 온라인 형태가 다수를 이루었다. 둘째, 설문에 참여한 교사는 학부모의 학교참여 필요성에 대해서 다소 부정적인 편으로 나타났으며, 참여가 필요한 영역으로는 학교 및 학급설명회, 학생의 안전 보호 등이었다. 셋째, 학부모의 학교참여가 어려운 점은 다수가 ‘시간부족’과 ‘교사 및 학교 측의 부담을 느껴서’ 순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학부모의 학교참여를 위한 방안으로 지역 자원을 활용한 부모와 자녀 참여형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주체로서 학부모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arental involvement in Seoul’s elementary schools in the context of the 2016 enactment and 2019 revis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rdinance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chool Parent Associations and on Support for Parent Education. A large-scale survey was administered across 609 elementary schools, yielding valid responses from 4,820 parents and 1,493 teachers.
Results reveal four key findings. First, 87.6% of parents reported past or current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most frequently through surveys, classroom observations, and monitoring initiatives. Their engagement was more often facilitated via easily accessible online platforms than through formal or informal parent organizations. Second, teachers expressed moderately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overall necessity of parental involvement, while acknowledging its value in specific areas such as school- and class-level information sessions and ensuring student safety. Third, parents cited lack of time and concerns about imposing additional burdens on teachers and schools as primary barriers to participation. Finally, to strengthen parental engagemen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mmunity-based, parent–child joint programs are recommended.
목차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음악 교과 협력교수 실행을 통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실천적 지식
- 선호도 평가 기반 행복 지수 증진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도중복장애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연구재단 개인연구군 선정 과제를 중심으로(2008-2024)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