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자 중심의 교양체육 수업 설계: 실천공동체(CoP)와 플립러닝의 통합적 접근

이용수  0

영문명
Designing Learner-Centered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 Integrative Approach to Community of Practice (CoP) and Flipped Learn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성훈(Sunghu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619~63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와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결합한 교수법이 대학 교양체육(수영) 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 참여, 협력 학습, 실기 성과 및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자 중심의 수업 환경에서 이러한 통합적 교수 전략이 어떻게 작용하며, 학생들의 자기주도성과 협업 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는 경기도 소재 A대학의 교양 수영 수업을 대상으로 2024년 3월부터 6월까지 16주간 수행되었으며, 총 25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다. 수업은 플립러닝 방식에 따라 학생들이 사전 온라인 강의와 퀴즈를 통해 이론을 학습하고, 수업 시간에는 실습과 토론 중심의 활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었다. 실천공동체 기반의 수업 설계는 조별 협력, 역할 분담, 상호 피드백을 통해 실천적 학습을 유도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 관찰, 조장 대상 심층 면담, 학습자 보고서 작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NVivo 12를 활용한 주제 중심의 질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 실천공동체와 플립러닝을 통합한 교수법은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 학습을 촉진하였고, 사전 이론 학습을 바탕으로 실습 활동에서의 기술 적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별 피드백과 협업은 팀워크와 기술 숙련도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습 동기 및 성취감이 증진되었다. 특히 초급자는 실습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참여도를 높였으며, 중⋅고급자는 리더십과 협업 능력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다만, 실습 시간의 제한, 참여 학생 간 실력 격차, 역할 분담의 불균형과 같은 도전 과제도 함께 확인되었다. 결론 실천공동체와 플립러닝의 통합적 적용은 체육 실기 수업에서 이론과 실천 간의 간극을 효과적으로 메우고, 학습자의 자율성과 협력 역량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교수 모델로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며, 향후에는 이 교수법의 장기적 효과를 검증하고, 공학⋅예술⋅의학 등 다양한 실습 기반 학문 분야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 학습 환경과의 연계 및 개별 피드백을 강화하는 자동화 시스템 개발을 통해 교수-학습 모델의 효과성을 더욱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integrating the Community of Practice (CoP) model and flipped learning on student engagement, collaborative learning, and academic performance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courses. Using a case study approach, the research examines how students interact with this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method and how it influences their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Methods The CoP model fosters peer collaboration by promoting knowledge sharing and reciprocal feedback, while flipped learning enables students to acquire theoretical concepts before class and apply them during practical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with group leader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 report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combined approach enhances student participation, strengthens teamwork, and bridges the gap between theoretical learning and practical application. However, some challenges were observed, including time constraints, variations in skill levels among students, and the need for more structured role assignments in group activiti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tegration of CoP and flipped learning is effective in fostering learner autonomy, promoting cooperative learning, and improving practical skill acquisition in physical education course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he long-term effects of this instructional model and its applicability to other academic disciplines and diverse learning enviro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훈(Sunghun Kim). (2025).학습자 중심의 교양체육 수업 설계: 실천공동체(CoP)와 플립러닝의 통합적 접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4), 619-636

MLA

김성훈(Sunghun Kim). "학습자 중심의 교양체육 수업 설계: 실천공동체(CoP)와 플립러닝의 통합적 접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4(2025): 619-6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