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쉴러의 『인간의 심성교육』을 중심으로 고찰한 실과 교육에서 감각교육의 중요성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ortance of Sensor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 Study Based on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of Ma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지연(Jiyeon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177~19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육에서 감각과 이성의 조화가 왜 중요한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프리드리히 쉴러의 『인간의 심성교육』에 제시된 감각 충동, 형식 충동, 유희 충동 개념을 이론적 틀로 삼아 실과 교육의 감각적 경험이 교육적으로 갖는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쉴러의 심성 교육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쉴러의 저서, 쉴러에 관한 국내외 논문으로 대상으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감각 충동과 형식 충동, 유희 충동 개념을 중심으로 실과 교육의 감각적 경험의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결과 실과 교육은 감각을 억제하거나 단순한 기능 학습의 도구로 여겨서는 안 되며, 감각을 중심에 두고 이성과 통합함으로써 아동의 심성 함양과 전인적 성장을 추구해야 함이 드러났다. 감각은 정서, 공감, 윤리 감수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실과는 이러한 감각적 체험이 풍부하게 일어날 수 있는 유일한 교과 중 하나임이 확인되었다. 결론 실과 교육에서 감각 중심의 수업 설계와 감각-이성 통합적 교수학습 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실과 교육이 단순한 기술 교육을 넘어 심성교육으로 확장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이 제안되었다. 감각교육은 실과 교육의 본질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서 재정립되어야 하며, 이는 실과 교육의 교육적 정당성과 독자성을 강화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achieving harmony between sensation and reas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In particular, Friedrich Schiller's “Letter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were employ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examine the educational meaning of sensory experience, focusing on the concepts of the sensuous drive, the formal drive, and the play drive. Methods A literature-based methodology was adopted. Schiller's original writings and a wide range of Korean and international scholarly studies were reviewed. Through a theoretical analysis centered on the three fundamental drives, the educational value of sensory experience in Practical Arts was investigated.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sensation should not be suppressed or treated merely as a tool for acquiring functional skills in Practical Arts. Rather, it must be placed at the center of learning and integrated with reason to cultivate children's moral development and holistic growth. Sensation was shown to be closely linked to emotion, empathy, and ethical sensibility, and Practical Arts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few subjects that offers rich opportunities for such embodied experiences.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instructional designs centered on sensory experience and for pedagogical strategies that integrate sensation and reason. Furthermore, it proposed a practical direction for expanding Practical Arts education beyond technical instruction toward aesthetic and moral cultivation. Sensory education was argued to be a core component of Practical Arts and should be reestablished as such to reinforce the educational legitimacy and unique identity of the subject.

목차

Ⅰ. 서론
Ⅱ. 프리드리히 쉴러의 『인간의 심성 함양』
III. 쉴러 이론의 교과교육학적 함의
IV. 실과 교육에서 감각교육의 중요성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연(Jiyeon Choi). (2025).쉴러의 『인간의 심성교육』을 중심으로 고찰한 실과 교육에서 감각교육의 중요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4), 177-193

MLA

최지연(Jiyeon Choi). "쉴러의 『인간의 심성교육』을 중심으로 고찰한 실과 교육에서 감각교육의 중요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4(2025): 177-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