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로탄력성의 개념, 구성요인, 척도개발에 관한 통합적 고찰: 국내⋅외 문헌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Concept, Components, and Scale Development of Career Resilience: Focusing on Comparis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아(Young-a Kim) 김경은(Kyung-Eu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103~12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 진로탄력성 관련 문헌을 통합적으로 검토하여 진로탄력성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척도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통합적 문헌고찰(Integrated literature review) 방법으로 국내 문헌 26편, 국외 문헌 24편, 총 50편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진로탄력성 연구는 London(1983)의 연구를 시작으로 국외에서는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는 2012년 이후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둘째, 진로탄력성의 개념은 진로와 관련된 어려움을 전제로 나타나며, 진로와 관련된 변화에 적응하고, 대처하고, 극복하고, 생존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처방안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은 개인적 요소, 직업적 요소, 사회적 요소로 구분되었다. 넷째, 진로탄력성 측정 도구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연구를 통해 개발되어 왔으며, 국내 문헌은 주로 초등학생, 청소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척도가 많았던 반면, 국외 문헌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척도가 많았고 성인 내에서도 그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결론과 의의,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areer resilience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lated to career resilience,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scale development based on these findings. Methods For this purpose,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was employed to analyze a total of 50 publications, consisting of 26 domestic and 24 international articles. Results First, career resilience research has been consistently studied abroad since London's study in 1983, while in Korea,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2. Second, the concept of career resilience is premised on career-related difficulties and is treat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specific coping strategies for adapting to, dealing with, overcoming, and surviving career-related changes. Third, the components of career resilience were categorized into personal, occupational, and social factors. Fourth, career resilience scale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various studi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hile domestic literature mainly focused on scal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international literature featured more scales for adults,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within adult population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s conclusion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아(Young-a Kim),김경은(Kyung-Eun Kim). (2025).진로탄력성의 개념, 구성요인, 척도개발에 관한 통합적 고찰: 국내⋅외 문헌비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4), 103-124

MLA

김영아(Young-a Kim),김경은(Kyung-Eun Kim). "진로탄력성의 개념, 구성요인, 척도개발에 관한 통합적 고찰: 국내⋅외 문헌비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4(2025): 103-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