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Differential Emotions Sca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호준(Ho-Jun Lee) 이희경(Hee-Kyu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195~2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개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정된 개별정서 척도(mDES; Fredrickson, 2013)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하였다.
방법 18-34세 초기 성인 525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존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변수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증분 타당도 확인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와 다르게 긍정정서, 개인내적 부정정서, 관계적 부정정서의 3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또한 이를 지지해주었다. 둘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정서는 정적정서, 긍정성 공명, 사회적 유대감, 삶의 만족, 회복탄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개인내적 및 관계적 부정정서는 우울, 불안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공존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PANAS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mDES 변수는 다양한 결과 변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증분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수정된 개별정서 척도(mDES)가 신뢰롭고 타당한 정서 측정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modified Differential Emotions Scale (mDES; Fredrickson, 2013) into Korean, based on a functionalist perspective, to separately asses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Method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a sample of 525 emerging adults aged 18-34. To examine convergent validity,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related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incremental validity.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a three-factor structure-positive emotions, intrapersonal negative emotions, and relational negative emotions-was more suitable than the original scale. This finding was further suppor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econd,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positive emo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affect, positivity resonance, social connectedness, life satisfaction, and resilience. In contrast, intrapersonal and relational negative emo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confirming convergent validity.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even after controlling for PANAS variables, the mDES variables significantly predicted various outcomes, establishing its incremental validity.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Differential Emotions Scale (mDES)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assessing emo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지역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기반 교육(P3L)을 활용한 수업이 지역사회 이해, 지역사회 문제해결력, 협동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4호 목차
- 성장기 성차별을 경험한 기독 중년여성 사역자의 자존감 회복과 자아성장에 대한 자문화 기술지
- 유치원 교사의 소진과 회복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무전공 대학생의 CSI(Career Story Interview)활용 진로상담 사례연구: K대학을 중심으로
- 경험학습 모형을 적용한 C대학 현장연계 수업 참여 경험에 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연구
- 학습자 중심의 교양체육 수업 설계: 실천공동체(CoP)와 플립러닝의 통합적 접근
- 한국판 수정된 개별정서 척도(mDES)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 효과
- 인공적 도덕 행위자의 도덕 감정 설계에 대한 초등 도덕과 교과 토론 수업 적용 방안: 칸트, 밀, 콜버그를 중심으로
- 문화예술교육 기반 아침 교육활동(등굣길 음악회)를 지도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예술기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음악전공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진 경험에 대한 Giorgi 현상학적 연구
- 성소수자 자녀를 둔 부모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영유아교육기관의 자연생태놀이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관계상실경험자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 의미재구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 대학 교육에서 신입생의 행복 경험과 인식에 대한 연구
- The Effect of Counselor Communication Style on Adolescent Clients' Therapeutic Alliance and Counseling Satisfaction
- 노인의 사회적 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지역사회내 계속거주의 조절효과
- 개업상담자의 소명의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수행과 역할스트레스의 순차매개효과
- 고등학교 1학년 청소년의 우울과 학업무기력: 학업열의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 클리커 앱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 사례 연구: 토픽(TOPIK) 수업을 중심으로
-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및 세계시민성 비교
-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대인관계 문제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사교육 소비 현황과 수요 분석: 가구 소득 분위별 가격 탄력성을 중심으로
-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결혼만족도, 양육행동 간 관계: APIM 모형의 적용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문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5년부터 2024년까지
- 초등 예비 교사 대상 과학교육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쉴러의 『인간의 심성교육』을 중심으로 고찰한 실과 교육에서 감각교육의 중요성
- 캡스톤디자인 교육을 통한 공연 제작 및 진행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간호학과 만학도의 진로몰입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강점인식의 매개효과
- 장신(長身) 트라우마를 지닌 크리스찬 중년여성의 치유, 성장(成長)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한국 교환학생으로 참여한 중국 한국어학과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초⋅중⋅고등학생의 차별경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분석
- 아동학대 경험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를 활용한 분석
- 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위한 간호학과 교직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학습접근방식,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나타난 초등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표현정교화 특성
- 장애이해교육과 협력교수를 적용한 체육수업이 비장애중학생의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성별과 학년의 조절효과
- 진로탄력성의 개념, 구성요인, 척도개발에 관한 통합적 고찰: 국내⋅외 문헌비교를 중심으로
- 외상 사건을 경험한 만 18세 이상 성인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희망과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SDGs 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지속가능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아분화, 전공선택동기, 사회적지지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씽킹방법론을 적용한 대학생 창업 수업 경험의 텍스트마이닝 분석
- 전국 의과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 자기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haracteristics of Story Grammar According to Type of Task Presentation in Healthy Elderly Adults
-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Auditory and Audiovisual Training in Noise for Hearing Aid Users with Hearing Loss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dical Imaging-Based Ear Impression System: A Preliminary Study of a Prototyp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