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위한 간호학과 교직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Curriculum Improvement Directions for Enhancing AI Competency in Nursing Teacher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윤주연(Juyeon Y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597~61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과 교직 교육과정 이수자의 인공지능(AI) 역량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AI 기반 교육을 교직 교육과정에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실질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A대학교 간호학과 교직 이수자를 대상으로 AI 역량 실태와 교직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개선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설문은 AI 개념 이해, 인간-AI 관계 인식, 활용 역량, 윤리 인식의 4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업 설계⋅운영⋅평가를 중심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탐색하였다. 결과 학생들은 교직 교육과정 내 AI 및 디지털 기술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습⋅프로젝트 기반 학습, AI 시뮬레이션 도구 활용, 혼합형⋅팀 기반 문제중심학습을 효과적인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AI 교육의 기존 교과목과의 유기적 융합, 실습 결과물⋅프로젝트 성과를 반영하는 수행 중심 평가, 교직 실습 내 AI 활용 능력 평가 항목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AI 교육을 내재화할 수 있는 구체적 개선 방향과 평가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론 간호학과 교직 교육과정의 AI 내재화를 위해 실습⋅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확대, 교과 내 AI 교육의 체계적 통합, 실무 중심의 수행 평가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혼합형 학습과 피드백 중심 교수⋅학습 환경을 통해 학생들의 실질적 적용 역량을 강화하고, 교직 실습 과정에서 AI 활용 능력을 반영한 평가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구체적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대학과 지역을 포함한 확장 연구와 제안된 방안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장기적 추적 연구가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디지털 전환 시대에 부합하는 지속 가능한 교직 교육과정 모델을 구축하고, 간호학과 교직 교육의 질적 향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I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in a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propose practical strategies to effectively integrate AI-based education into the curriculum. Methods A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 survey examined AI concept understanding, human-AI relationship perception, application competency, and AI ethics awareness. Focus group interviews explored curriculum design, instruction, and assessment improvements for AI integration. Results Students highly recognized the need for AI and digital technology education within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ject- and practice-based learning, AI simulation tools, blended learning, and team-based problem-solving. Additionally, they expressed the need to integrate AI education into existing courses, apply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and include AI competency evaluation in teaching practicums. Conclusions To enhance AI competency, expanding practice-based learning, systematically integrating AI content, and establishing performance-focused assessments are essential. This study presents specific improvement direction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broader follow-up research to build a sustainable, AI-integrated teacher education mod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주연(Juyeon Yoon). (2025).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위한 간호학과 교직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4), 597-617

MLA

윤주연(Juyeon Yoon). "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위한 간호학과 교직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4(2025): 597-6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