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잠재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의 차이

이용수  0

영문명
Psychosocial Adjustment Differences by Latent Profile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발행기관
한국학부모학회
저자명
박지현 허무녕
간행물 정보
『학부모연구』제12권 제4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동과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적응을 결정짓는 핵심 환경 요인으로 오랫동안 강조되어 왔으나 실제 양육 장면에서는 긍정적·부정적 태도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발달 단계에 따라 그 기능성이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자녀가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의 잠재유형을 규명하고 각 유형이 우울, 신체화, 학교적응과 같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21년에 실시한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5,937명의 학생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분석은 Mplus 8.9와 SPSS 29.0을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과 BCH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아동과 청소년 모두에게서 냉담·혼란형, 중간·균형형, 지지·구조형, 과잉·양가형의 네 가지 잠재유형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지지·구조형은 우울과 신체화 수준이 가장 낮고 학교적응이 가장 높아 전반적으로 바람직한 발달 양상을 보였으며, 냉담·혼란형은 모든 심리·행동 지표에서 가장 취약하였다. 과잉·양가형의 경우 아동기에는 높은 학교적응과 정서적 어려움이 병존하였으나 청소년기에는 오히려 학교적응까지 저하되는 등 발달단계에 따라 기능성이 변화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 양육태도가 단순히 긍정적·부정적 차원으로 설명되기보다 복합적이고 발달적으로 맥락화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발달단계별로 차별화된 부모교육과 상담 개입, 그리고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Parenting attitudes have long been recognized as critical environmental factors shaping children’s and adolescents’ psychosocial development. However, parenting practices often involve both supportive and controlling aspects simultaneously, and their developmental implications may differ across life stag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atent profile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psychosocial adjustment—specifically depression, somatization, and school adjustment—across the identified profiles. Data were drawn from the 2021 National Survey of Youth Mental Health in Korea, including 5,937 student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he BCH method were conducted using Mplus 8.9 and SPSS 29.0. Results revealed four common profiles across both age groups: cold–confused, moderate–balanced, supportive–structured, and overinvolved–ambivalent. The supportive–structured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s of depression and somatization and the highest school adjustment, while the cold–confused group demonstrated the most vulnerable outcomes across all domains. Notably, the overinvolved–ambivalent group displayed developmental shifts, with relatively high school adjustment but coexisting emotional difficulties in childhood, and decreased overall adjustment in adolescenc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omplex and developmental nature of parenting attitudes and underscore the need for differentiated parent education, counseling interventions, and policy support tailored to developmental stage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현,허무녕. (2025).아동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잠재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의 차이. 학부모연구, 12 (4), 1-25

MLA

박지현,허무녕. "아동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잠재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의 차이." 학부모연구, 12.4(2025):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