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지역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기반 교육(P3L)을 활용한 수업이 지역사회 이해, 지역사회 문제해결력, 협동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Undergraduates' Place Problem-Solving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Understanding, Community Problem-Solving Ability, Collabora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갑순(Kab Soon Kim) 최지연(Ji Yeon Choi) 이희제(Hee Jae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687~70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지역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기반 교육(P3L)을 활용한 수업이 지역사회 이해, 지역사회 문제해결력, 협동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자 연구되었다. 방법 강원특별자치도 지역에 위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역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수업(P3L)을 진행 후,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계수로 산출하였으며, 연구 집단은 사전 및 사후 검사에서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지역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기반 교육(P3L)을 활용한 수업이 지역사회 이해, 지역사회 문제해결력, 협동학습, 자기주도적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둘째, 하위 요인 별로 분석한 결과는 지역사회 문제해결력은 ‘문제명료화’에서, 협동 학습은 ‘안정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지역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기반 교육(P3L)을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중심 교육방법을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undergraduates' place problem-solving project-based learning (PBL) on community understanding, community problem-solving ability, collabora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thods The place problem-solving PBL was conducted for undergraduates located in Gangwon province, followed by pre-test and post-te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subjects by calculat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Cronbach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the research group applied a paired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s. Results First, the place problem-solving PBL for undergraduates yields positive effect on community understanding, community problem-solving ability, collabora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analysis of sub-factor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 clarification” for commun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nse of stability” for collaborative learning. Conclusions Place problem-solving PBL would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for applying learner-centered innovative teaching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갑순(Kab Soon Kim),최지연(Ji Yeon Choi),이희제(Hee Jae Lee). (2025).대학생의 지역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기반 교육(P3L)을 활용한 수업이 지역사회 이해, 지역사회 문제해결력, 협동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4), 687-703

MLA

김갑순(Kab Soon Kim),최지연(Ji Yeon Choi),이희제(Hee Jae Lee). "대학생의 지역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기반 교육(P3L)을 활용한 수업이 지역사회 이해, 지역사회 문제해결력, 협동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4(2025): 687-7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