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나타난 초등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표현정교화 특성

이용수  0

영문명
Expressive Elaboration in Narravtives in School-Ag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희란(Hee Ra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75~8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저학년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들이 수행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의 표현정교화 특성을 일반아동의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총 연구대상은 초등 1~3학년 15명의 고기능 ASD 아동과 이들의 수용어휘력을 일치시킨 15명의 일반아동이었으며, 글자 없는 그림책으로 이야기를 수집하였으며, 구성, 배경, 평가의 3개 범주에 따른 총 14개 하위 항목으로 구성된 표현정교화 점수 체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고기능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은 일반 아동보다 구성과 평가 범주에서 비교적 수행이 저조했으나 배경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하지만 집단과 범주(구성, 평가, 배경)에 따른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으며 두 집단 모두에서 범주 산출은 배경> 구성> 평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범주 별 내용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기능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행동 특성을 반영하는 지연반향어 산출이 두드러졌으며, 수식어와 관계어, 응집성 있는 표현에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야기 다시 말하기를 활용한 표현정교화 특성 분석이 고기능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담화 분석을 위한 비교적 의미있는 측정치가 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한 본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elaboration in a story retelling task performed by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ASD) in the early elementary grades with data from typical childre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 high-functioning ASD children in grades 1-3 of elementary school and 15 typical children whose receptive vocabulary was matched to theirs. Stories were collected in wordless picture book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expressive elaboration scoring system consisting of a total of 14 sub-items according to three categories: appendage, orientation, and evaluation. Results First,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performed relatively worse than typical children in the categories of composition and evaluation, but received high scores in background. However, these differences by group and categor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 both groups, category production was in the order of orientation > appendage > evaluation. Second,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by category, it was confirmed that delayed echolalia production, which reflect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prominent, and that they had difficulty with modifiers, relative words, and cohesive expressions.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discussed as it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 analysis of elaboration characteristics using story retelling can be a relatively meaningful measure for analyzing the discourse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란(Hee Ran Lee). (2025).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나타난 초등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표현정교화 특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4), 75-85

MLA

이희란(Hee Ran Lee).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나타난 초등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표현정교화 특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4(2025): 75-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