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문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Literac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rom 2015 to 2024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신수진(SuJin Sh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125~14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 문해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2015년부터 2024년까지 발간된 유아 문해 관련 국내 학술 논문 중에서 123편을 선별하여 빈도 분석과 논문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빈도 분석은 Excel 201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은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이후 NetDraw를 이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를 시각화 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 문해 관련 연구는 전기와 후기에 거의 비슷한 편수로 발간되었지만 2020년부터 2022년 사이에 연구물 수가 다소 주춤하다가 2023년과 2024년에 연구물이 급증하였다. 둘째, 키워드 빈도분석 결과 1기에는 ‘그림책읽기, ‘읽기흥미’, ‘그림책읽기활동’과 ‘읽기태도’, ‘문해교육’ 순으로 빈번하게 출현했고, 2기에는‘가정문해환경’, ‘어머니-유아문해상호작용’, ‘읽기흥미’, ‘그림책읽기활동’, ‘발생적문해능력’ 순으로 빈번하게 출현했다 셋째, 연결중심성은 1기에 ‘그림책읽기’, ‘읽기흥미’, ‘어머니-유아문해상호작용’, ‘읽기태도’, ‘문해교육’ 순으로, 2기에는 ‘가정문해환경’, ‘읽기흥미’, ‘어머니-유아문해상호작용’, ‘한글해득’ , ‘문해능력’, ‘상상력’ 순으로 나타났다. 근접중심성은 1기에 ‘그림책읽기’, ‘그림책읽기활동’, ‘읽기태도’, ‘읽기흥미’, ‘어휘력’순으로, 2기에는 ‘가정문해환경’, ‘어머니-유아문해상호작용’, ‘읽기흥미’, ‘읽기동기’, ‘어휘력’ 순으로 나타났다. 매개중심성은 1기에 ‘그림책읽기’, ‘읽기흥미’, ‘언어표현력’, ‘어머니-유아문해상호작용’, ‘문해능력’ 순으로 2기에는 ‘가정문해환경’, ‘읽기흥미’, ‘언어발달’, ‘매개효과’, ‘발생적문해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위세중심성 분석은 1기에는 ‘읽기교육’, ‘책만들기’, ‘읽기쓰기’, ‘복합양식’ 순으로, 2기에는 ‘가정문해환경’, ‘읽기흥미’, ‘어머니-유아문해상호작용’, ‘한글해득’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아 문해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추후 진행될 유아 문해 관련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literac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A total of 123 domestic academic papers on early childhood literacy published between 2015 and 2024 were selected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of the keywords in these papers wer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xcel 2016, while network centrali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UCINET 6. Subsequently, the constructed network was visualized using NetDraw. Results First, research on early childhood literacy was published at a similar rate during the early and later periods, but there was a slight decline in the number of studies between 2020 and 2022, followed by a sharp increase in publications in 2023 and 2024. Second, keyword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at during the first phase, keywords such as “picturebook reading,” “reading interest,” “picturebook reading activities,” “reading attitude,” and “literacy education” appeared frequently. In the second phase, “home literacy environment,” “mother-child literacy interaction,” “reading interest,” “picturebook reading activities,” and “emergent literacy skills” were prominent. Third, degree centrality showed that during the first phase, keywords like “picturebook reading,” “reading interest,” “mother-child literacy interaction,” “reading attitude,” and “literacy education” were central, while in the second phase, keywords like “home literacy environment,” “reading interest,” “mother-child literacy interactio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literacy skills,” and “imagination” were central. Closeness centrality indicated that during the first phase, keywords such as “picturebook reading,” “picturebook reading activities,” “reading attitude,” “reading interest,” and “vocabulary” were prominent, while in the second phase, keywords like “home literacy environment,” “mother-child literacy interaction,” “reading interest,” “reading motivation,” and “vocabulary” were central. Betweenness centrality showed that during the first phase, keywords like “picturebook reading,” “reading interest,” “language expression ability,” “mother-child literacy interaction,” and “literacy skills” played a mediating role, while in the second phase, keywords like “home literacy environment,” “reading interest,” “language development,” “mediating effect,” and “emergent literacy skills” were significant mediators. Lastly, eigenvector centrality revealed that during the first phase, keywords such as “reading education,” “book creation,” “reading and writing,” and “multimodal” were prominent, while in the second phase, keywords like “home literacy environment,” “reading interest,” “mother-child literacy interaction,” and “Korean language acquisition” were central. Conclusion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literacy and offer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this topic.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수진(SuJin Shin). (2025).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문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5년부터 2024년까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4), 125-144

MLA

신수진(SuJin Shin).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문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5년부터 2024년까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4(2025): 125-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