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사회적 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지역사회내 계속거주의 조절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s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ging In Pla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문송하(Song Ha Mun) 이미애(Mee Ae Lee) 김상철(Sang Chul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441~45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지역사회 내 계속거주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방법 자료수집은 2023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9,955명(남 4,384명, 여 5,571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9.0, PROCESS Macro 4.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노인의 사회적 관계는 우울에 부(-)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우울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부(-)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셋째, 노인의 사회적 관계는 삶의 만족도를 정(+)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넷째, 우울은 사회적 관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졌다. 다섯째, 지역사회 내 계속거주는 사회적 관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회적 관계 강화, 우울 감소, 지역사회 내 계속거주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논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rect effects of the social relationships of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and cla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ging in place on these relationships.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the 2023 Elderly Survey data, and 9,955 subjects (4,384 men and 5,571 women) were select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4.3 programs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effect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relationships of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Second, de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a negative way. Third, the social relationships of the elderly significantly improved the life satisfaction in a positive way. Fourth, depress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Fifth, aging in place verifi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social relationships, reducing depression, and creating an environment for aging in place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ased on this, specific discus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송하(Song Ha Mun),이미애(Mee Ae Lee),김상철(Sang Chul Kim). (2025).노인의 사회적 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지역사회내 계속거주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4), 441-457

MLA

문송하(Song Ha Mun),이미애(Mee Ae Lee),김상철(Sang Chul Kim). "노인의 사회적 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지역사회내 계속거주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4(2025): 441-4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