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Differential Emotions Sca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호준(Ho-Jun Lee) 이희경(Hee-Kyu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195~2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개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정된 개별정서 척도(mDES; Fredrickson, 2013)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하였다.
방법 18-34세 초기 성인 525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존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변수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증분 타당도 확인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와 다르게 긍정정서, 개인내적 부정정서, 관계적 부정정서의 3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또한 이를 지지해주었다. 둘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정서는 정적정서, 긍정성 공명, 사회적 유대감, 삶의 만족, 회복탄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개인내적 및 관계적 부정정서는 우울, 불안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공존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PANAS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mDES 변수는 다양한 결과 변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증분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수정된 개별정서 척도(mDES)가 신뢰롭고 타당한 정서 측정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modified Differential Emotions Scale (mDES; Fredrickson, 2013) into Korean, based on a functionalist perspective, to separately asses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Method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a sample of 525 emerging adults aged 18-34. To examine convergent validity,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related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incremental validity.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a three-factor structure-positive emotions, intrapersonal negative emotions, and relational negative emotions-was more suitable than the original scale. This finding was further suppor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econd,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positive emo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affect, positivity resonance, social connectedness, life satisfaction, and resilience. In contrast, intrapersonal and relational negative emo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confirming convergent validity.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even after controlling for PANAS variables, the mDES variables significantly predicted various outcomes, establishing its incremental validity.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Differential Emotions Scale (mDES)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assessing emo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