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주 수학여행과 식민지 지배 인재 양성 교육: 경성중학교『교우회지』(1923-1935)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School Excursions to Manchuria and the Education of Administrators for Colonial Rule: An Analysis of Keijō Middle School‘s Kōyūkaishi (1923-1935)
발행기관
한국일본교육학회
저자명
김도연
간행물 정보
『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30권 제3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식민지 조선의 지배 인재 양성 기관이었던 경성중학교의 만주 수학여행을 분석하였다. 경성중학교는 식민지 조선 최초의 일본인 중학교로, 졸업생은 경성제국대학으로 진학하여 식민 지배의 핵심 인력이 되었다. 만주 수학여행은 1924학년도, 1929학년도, 1934학년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러일전쟁 전적지와 일본이 건설한 근대 도시 및 산업 시설을 방문하였다. 1934년 이후에는 만주국 수립에 따라 신경과 하얼빈이 추가되었다.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교우회지 기행문 분석 결과, 학생들은 전적지에서 제국을 위한 헌신을 다짐하고 중국인에 대한 멸시와 차별 의식을 드러냈다. 소수 조선인 학생의 글도 일본인 학생과 차이가 없어, 경성중학교 교육이 민족을 넘어 제국의 위계 구조를 내면화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기별로는 1920년대 중반 야마토 민족 담론에서 1930년대 만주 경영 주체 담론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주로 다룬 조선인 학생의 수학여행과 달리 재조선 일본인 학생의 경험을 분석하여 식민지 경영을 위한 인재 양성 교육의 일면을 드러냈다. 조선인 학생이 ‘제국의 일원’으로 포섭되는 과정이었다면, 재조선 일본인 학생은 ‘제국 경영의 주체’로 호명되는 과정이었다. 즉, 경성중학교의 만주 수학여행은 학생들에게 제국 일본을 재인식시키고 식민지 경영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활동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chool excursions to Manchuria conducted by Keijō Middle School, an elite institution in colonial Korea that trained future colonial administrators. Established as the first Japanese middle school in colonial Korea, Keijō Middle School sent many graduates on to Keijō Imperial University, where they were trained to become key officials in colonial governance. The school organized excursions in the 1924, 1929, and 1934 academic years, visiting Russo-Japanese War battlefields as well as modern cities and industrial facilities constructed by Japan. After 1934, the itinerary expanded to include Xinjing and Harbin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 An analysis of student travel essays published in Kōyūkaishi (Alumni Magazine) shows that students pledged devotion to the empire at battlefield sites and repeatedly used disparaging and discriminatory language toward Chinese people. Essays by minority Korean students show little to no difference from those by Japanese students, indicating that instruction at Keijō Middle School inculcated the empire’s hierarchical order across ethnic lines. Over time, the discourse shifts from an emphasis on ‘Yamato minzoku’ (the Japanese race) in the mid-1920s to a 1930s emphasis on students’ roles as agents of imperial management in Manchuria.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primarily examined Korean students’ excursions, this research analyzes the experiences of Japanese students in Korea and shows how the excursions functioned as a core educational practice to prepare future colonial administrators. While Korean students were incorporated as ‘members of the empire,’ Japanese students in Korea were positioned as ‘agents of imperial management.’ The school’s excursions to Manchuria thus reaffirmed imperial Japan and prepared students for colonial administration.

목차

Ⅰ. 서론
Ⅱ. 경성중학교와 식민 지배 인재 양성
Ⅲ. 경성중학교 만주 수학여행의 실제
Ⅳ. 만주 수학여행기를 통해본 학생들의 인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연. (2025).만주 수학여행과 식민지 지배 인재 양성 교육: 경성중학교『교우회지』(1923-1935)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연구, 30 (3), 1-23

MLA

김도연. "만주 수학여행과 식민지 지배 인재 양성 교육: 경성중학교『교우회지』(1923-1935)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연구, 30.3(2025):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