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life stress,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control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nursing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황혜민(Hye Min Hwang) 황지혜(Ji-Hye Hwang) 한수연(Soo-Yeon Ha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7호, 109~12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일개 대학 200명의 간호대학생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24년 5월 1일부터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단계적 다중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생활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연령, 스마트폰 사용시간(F=8.427,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59.3%였다.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대인관계능력(r=-.197, p=.005)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생활스트레스(r=.384,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생활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으며 대학생활 적응을 돕고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을 줄이기 위해 대인관계능력 향상과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대학이나 학과 내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군을 사전 선별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 검사,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life stress,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control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used to study 200 nursing students, recruited from one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1 to 30, 2024.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demographic factors, RLSS(Revised Life Scale for College Students)-CS, Relation Change Scale, Self-control,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s, one 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Life stress(r=.384, p<.001), interpersonal skills(r=-.197, p=.005)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stress i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s a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martphone usage time, age, life stress, interpersonal skills were discovered to account for 59.3% variance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f nursing students. A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is needed in order to reduce life stress,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혜민(Hye Min Hwang),황지혜(Ji-Hye Hwang),한수연(Soo-Yeon Han). (2025).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7), 109-121

MLA

황혜민(Hye Min Hwang),황지혜(Ji-Hye Hwang),한수연(Soo-Yeon Han).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7(2025): 109-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