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 및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eacher's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Student Education and Guidance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하늘(Haneul Lee) 허예린(Yerin Heo) 김정민(Jung Mi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7호, 340~364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15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 및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C도 소재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사 중 경계선 지능 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4일부터 10월 11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현상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공통된 경험과 지원 요구를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첫째, 교사의 경계선 지능 학생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부족하였고, 경계선 지능에 대한 용어 사용에 우려를 보였다. 둘째, 경계선 지능 학생의 특성으로 제한된 의사소통, 학업 능력 저하, 정서조절의 어려움, 낮은 자존감 및 또래관계의 어려움 등이 파악되었다. 셋째,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 및 지원 경험으로 수업현장에서 맞춤형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자료의 필요성, 부모와 소통이 어려움 그리고 생활지도의 어려움 등이 보고되었다. 넷째, 교사의 경계선 지능 학생을 위한 지원 요구로는 경계선 지능 학생에 대한 인식 전환은 물론 조기 선별 시스템 기초학력보장 지원사업 강화, 교사 연수, 부모 교육 및 바우처 지원 등을 강조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 및 지도 경험을 탐색하고, 지원 필요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경계선 지능 학생을 위한 생애주기별 맞춤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student education and guidance for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20 teacher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student guidance experience among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located in C-do from July 4 to October 11, 2023. For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the common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the subjects were derived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eacher's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students was insufficient, and there was concern about the use of terms for the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Second, limited communication, poor academic ability,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low self-esteem, and difficulty in peer relations were identified a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Third, the necessity of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classroom,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parents, and difficulty in life guidance were reported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education and support for students with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of teachers. Fourth, the demand for support for students with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emphasized not only the change of perception of students with the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but also the strengthening of the basic education guarantee support project for the early screening system, teacher training, parental education, and voucher suppor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customized support for each life cycle for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tudents b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tudents' education and guidance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examining the need for support in detai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하늘(Haneul Lee),허예린(Yerin Heo),김정민(Jung Min Kim). (2025).교사의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 및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7), 340-364

MLA

이하늘(Haneul Lee),허예린(Yerin Heo),김정민(Jung Min Kim). "교사의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 및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7(2025): 340-3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