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 및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eacher's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Student Education and Guidance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하늘(Haneul Lee) 허예린(Yerin Heo) 김정민(Jung Mi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7호, 340~364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15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 및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C도 소재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사 중 경계선 지능 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4일부터 10월 11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현상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공통된 경험과 지원 요구를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첫째, 교사의 경계선 지능 학생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부족하였고, 경계선 지능에 대한 용어 사용에 우려를 보였다. 둘째, 경계선 지능 학생의 특성으로 제한된 의사소통, 학업 능력 저하, 정서조절의 어려움, 낮은 자존감 및 또래관계의 어려움 등이 파악되었다. 셋째,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 및 지원 경험으로 수업현장에서 맞춤형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자료의 필요성, 부모와 소통이 어려움 그리고 생활지도의 어려움 등이 보고되었다. 넷째, 교사의 경계선 지능 학생을 위한 지원 요구로는 경계선 지능 학생에 대한 인식 전환은 물론 조기 선별 시스템 기초학력보장 지원사업 강화, 교사 연수, 부모 교육 및 바우처 지원 등을 강조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 및 지도 경험을 탐색하고, 지원 필요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경계선 지능 학생을 위한 생애주기별 맞춤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student education and guidance for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20 teacher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student guidance experience among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located in C-do from July 4 to October 11, 2023. For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the common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the subjects were derived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eacher's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students was insufficient, and there was concern about the use of terms for the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Second, limited communication, poor academic ability,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low self-esteem, and difficulty in peer relations were identified a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Third, the necessity of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classroom,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parents, and difficulty in life guidance were reported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education and support for students with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of teachers. Fourth, the demand for support for students with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emphasized not only the change of perception of students with the boundary line intellectual function, but also the strengthening of the basic education guarantee support project for the early screening system, teacher training, parental education, and voucher suppor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customized support for each life cycle for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tudents b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tudents' education and guidance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examining the need for support in detai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7호 목차
- 상호문화적 관점의 한국어 문화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주배경 중등학습자의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 자기주도 환경교육이 대안학교 아동의 기후변화 인식, 지식, 태도와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아동과 모의 삶의 만족도 궤적을 활용한 유형화 분석 및 집단별 특성에 관한 연구
- 학습심리적 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매개로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학교교육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분석
-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의 이중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정치성향이 정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후속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0세아전용 어린이집 이용 어머니를 대상으로
- 초등학생을 위한 협동학습 기반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관계 인성 프로젝트 수업이 인공지능 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수준별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 차이 분석
- 혁신교수법으로 적용된 방탈출 관련 연구의 서지정보 분석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수업역량과 유아의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반려인의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반려동물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축구팀 내 소통이 전략적 의사 결정과 경기 운영에 미치는 영향
- 간호학과와 의학과 학부생의 전문직 간 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과 가상현실 학습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교수-학생 상호작용 및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기 자비의 매개 효과
-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발 모형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방송 뉴스 앵커 K의 ‘분노하기’ 개인 평가어 연구: 체계기능언어학의 평가어 이론의 관점에서
- 교사의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 및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 양육방식이 내현적 자기애에 미치는 영향: 자기대상욕구의 매개효과
- 국내 디지털 시민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교수-학습 상황에서 사용되는 공감적 의사소통 전략에 대한 다중 사례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능력, 차별 경험, 사회적 지지가 지각된 한국 사회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보험설계사의 교정적 피드백과 조직몰입의 관계: 긍정적 초점변경으로 조절된 개인적 성취감 감소의 매개 효과
- 영유아교사의 세대별 일과 삶의 균형 및 조직 내 인간관계 차이 분석
- 외국인 유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가 대학생활적응 및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협력학습의 효과와 참여 대학생의 만족도
- 국가장학금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립대학 재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테크노스트레스가 디지털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장애위험 영유아의 특징,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지원에 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 고등학생의 복합외상경험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 중국 가오카오 수험생이 지각한 스트레스 수준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일본어 모어 화자의 한글 자형 인식 양상 연구: 비학습자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와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 빅데이터에 기초한 학습공동체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중학생의 영어과목 학업성취 예측 및 주요 요인 탐색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간호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충청북도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 병렬 말뭉치 기반 L1(한국어) 화자를 위한 L2(한국수어) 교육 연어 탐색 방법 연구
- 자녀가 없는 기혼 초심 청소년상담사의 부모상담 역전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청소년기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무스트레스, 심리적소진,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분석
- 영유아 관련 교육적 기록화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첨단 과학기술에 대한 중학생의 생각과 그 이유 탐색: 인공지능, 로봇의 특징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 제재곡 분석
- The Pedagogical Effectiveness of Using Plurilingualism and humor for French Students Learning Korean
- 유보통합의 필요성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 영유아 학부모의 통합돌봄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예비 초등영어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 탐색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