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용수  0

영문명
Convergence elective-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for School Autonomous Hours in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임휘(Huiy Lim) 백성혜(Seoung-Hey Pai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7호, 279~29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서 학교자율시간에 운영할 수 있는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도구로써의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학습 경험 선정 기준’과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교사 교육과정 개발, 학교자율시간 내용 구성 기준 및 교과 융합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자별 학습 경험 선정 기준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요소와 함께 학교자율시간 교육과정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를 추가하여 종합하였고, 교사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교과 융합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성격과 절차를 분석하여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발에의 의의와 한계점을 보완하고 이를 종합하여 개발하였다. 결과 이를 토대로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학습 경험 선정 기준’과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준비’, ‘계획’, ‘개발’, ‘적용’, ‘평가’ 총 5단계 및 각 단계별 하위 21개의 절차를 역동적인 순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결론 개발된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학습 경험 선정 기준’과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각 학교급에 맞게 발전과 개선하는 연구뿐만 아니라 학교별 특색있는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criteria for the learning experience of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autonomous hours’ and ‘The model for convergence elective-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for middle school autonomous hours’ was developed as tool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elective-subjects to operate middle school autonomous hours.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teacher-level curriculum development, school autonomous hours content composition standards, and the selection criteria of learning experience for each researcher's subject convergence curriculum development were analyzed, then, common and essential elements for school autonomous hours curriculum development were added and synthesized. Results Based on this, the model consisting of five steps, ‘Preparation’,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a total of 21 procedures below each step was constructed to enable a dynamic cycle of each step and procedure including ‘the criteria for learning experience of convergence elective-subject curriculum for autonomous hours operation in middle school’. Conclusions The developed ‘Criteria for learning experience of convergence elective-subject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autonomous hours’ and ‘Model for convergence elective-subject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autonomous hours’ were proposed to continuously develop a unique middle school autonomous hours curriculum as well a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research for each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발 모형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휘(Huiy Lim),백성혜(Seoung-Hey Paik). (2025).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발 모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7), 279-293

MLA

임휘(Huiy Lim),백성혜(Seoung-Hey Paik).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교과 융합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발 모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7(2025): 279-2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