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0

영문명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s to improve self-esteem in adolesc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윤심(Yun-sim Kang) 최보영(Bo-young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7호, 295~31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부터 2024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청소년 대상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논문 16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고, 데이터 분석은 R 프로그램의 meta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결과 메타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한 결과, 첫째, 전체 효과 크기는 1.18로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하위요인별로는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은 중간 효과 크기,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작은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셋째, 조절변수에 따른 효과 크기는 남학생 집단, 주 3회 진행 시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총 회기수가 길수록 효과성 측면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결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신뢰성과 효과성을 규명함으로써 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효과 간의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in adolescents through meta-analysis. Methods We conducted a meta-analysis by selecting 16 papers tha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a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in adolescent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September 2024,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eta package of the R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a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in adolescents through meta-analysi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1.18, showing a large effect size. Second, by subfactor,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showed a medium effect size, and family self-esteem showed a small effect size. Third,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moderating variable showed a large effect in the male student group and when the program was conducted more than 3 times a week, and the longer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the higher the effectiveness aspect tended to be. Conclusions By clarifying the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of a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elf-esteem in adolescent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consistency between the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윤심(Yun-sim Kang),최보영(Bo-young Choi). (2025).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7), 295-312

MLA

강윤심(Yun-sim Kang),최보영(Bo-young Choi).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7(2025): 295-3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