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nline Reading Strategi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 A Comparative Focus on Social and Video Tex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나라(Nara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3호, 23~5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와 모어 화자가 선호하는 텍스트를 살펴보고 선호하는 텍스트를 대상으로 집단별 온라인 읽기 전략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선호하는 한국어 온라인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학습자는 비동기적 특성의 소셜 텍스트와 온라인 동영상 텍스트를, 모어 화자는 동기적 특성의 채팅 텍스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어 소셜 텍스트와 온라인 동영상 텍스트를 대상으로 집단별 전략 사용 빈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로 인쇄 기반 읽기 과정에서의 전략보다는 디지털 리터러시 영역(검색과 탐색, 점검, 소통과 협업, 공유와 재생산, 디지털 안정성, 디지털 윤리와 태도)에 속하는 전략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읽기에서 전략 사용이 숙달도・텍스트 유형・전략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 요소가 중요한 변별 요인이 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숙달도에 기반한 온라인 읽기 전략 교육 설계와,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읽기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3, 23-56. This study examined the preferred types of online texts among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language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in digital environments, and analyzed each group’s use of online reading strategies for their preferred text types. An analysis of text preferences revealed that Korean-language learners tended to favor asynchronous formats, such as social texts and online video texts, whereas native speakers strongly preferred synchronous formats, such as online chat.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strategy for social texts and online video texts was examined across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not in strategies typically associated with print-based reading, but in those falling within the domain of digital literacy, namely, search and navigation, monitor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haring and reproduction, digital safety, and digital ethics and attitud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use of online reading strategies varies according to learners’ proficiency levels, text types, and strategy domains, with digital literacy functioning as a key differentiating factor.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online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tailored to proficiency levels, along with comprehensive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language education. (Sogang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한국어 온라인 텍스트 선호도 분석 결과
5. 한국어 온라인 읽기 전략 측정 결과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hatGPT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 방안 - ‘목차 구성하기’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온라인 읽기 전략 연구 - 소셜 텍스트와 동영상 텍스트를 중심으로
- 한국어 통합 교재에 수록된 시각 텍스트의 유형 및 교육적 기능 분석 - 『서울대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 조선어 능력 평가 애플리케이션의 문항 유형 구성 방식 분석 연구 - ‘소유(1.0)’을 중심으로
- 한국어와 베트남어 직장 내 호칭어의 화용적 기능 비교 연구
- 네이티브 멀티모달(Natively Multimodal) AI 기반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 효과 연구 - 구글(Google)의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 활용을 중심으로
- 해외지역 한국학 자생기반 구축방안 연구 - 한국학 전공자 취업 활성화를 중심으로
- 한국어 세계화 담론 속에 나타나는 ‘국어’ 단일언어 이데올로기의 문제 - 2000년대 ‘한국어 세계화’ 담론의 출현과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 학습자 주도성에 기반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글쓰기 과제 수행 연구
- 세종학당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 - 국내·외 한국어 교원을 중심으로
- 일본 대학 초급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의 의식 변화와 이문화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이탈리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색채어 연구 - ‘파란색’ 계열 색채어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정도부사 사용 양상 연구
- 문화 체험을 위한 한글 학습 콘텐츠 개발 연구
-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면담 수행에 나타난 질문 양상 연구
- 홍콩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쓰기 오류 분석 -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