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통합 교재에 수록된 시각 텍스트의 유형 및 교육적 기능 분석 - 『서울대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Types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Visual Texts in Integrated Korean Language Textbooks : Focusing on SNU Korean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김도연(Doye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3호, 57~103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통합 교재에 수록된 시각 텍스트의 유형과 교육적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재 편찬 시 시각 텍스트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분석 대상은 『서울대 한국어』 1A부터 6B까지 총 12권이며 학습자의 숙달도와 단원 구성을 기준으로 시각 텍스트를 인지적・행동적・정의적 측면에서 다면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시각 텍스트는 학습자의 인지적 부하를 경감할 뿐 아니라 흥미를 유발하고 주의를 환기시키며 언어 사용을 촉진하는 교육적 기능을 다층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재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 숙달도에 따라 시각 텍스트의 유형과 복잡성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 영역의 특성과 교육 목표를 고려하여 시각 텍스트를 설계해야 한다. 셋째, 총체적인 의사소통 역량 신장을 위해 시각 텍스트의 기능을 인지적・정의적 측면에 국한시키지 않고 행동적 참여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3, 57-104.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visual tex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inform their systematic integration into textbook development. Twelve volumes of SNU Korean⁺ (Levels 1A–6B) were analyzed, visual texts were reviewed from visual texts from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perspectives, with attention to learners’ proficiency levels and unit structures. The analysis showed that visual texts reduce cognitive load, stimulate interest, capture attention, and encourage active language use, complementing one another, to enhance comprehension and engagement. Three educational implications emerge. First, the types and complexity of visual texts should match learners’ proficiency levels. Second, their design should reflect specific domains and goals. Third, to foster communicative competence, visual texts should go beyond cognitive and affective dimensions to promote behavioral participation. (Yeungnam University)

목차

1. 들어가기
2. 한국어 교육에서의 시각 텍스트
3. 연구 방법
4.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시각 텍스트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연(Doyeon Kim). (2025).한국어 통합 교재에 수록된 시각 텍스트의 유형 및 교육적 기능 분석 - 『서울대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22 (3), 57-103

MLA

김도연(Doyeon Kim). "한국어 통합 교재에 수록된 시각 텍스트의 유형 및 교육적 기능 분석 - 『서울대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22.3(2025): 57-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