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심리적 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매개로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학교교육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Lear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on Student Core Competencies Mediated by Digital Literacy: A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Gyeonggi-do School Education Status Surve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장수빈(Subin Jang) 서웅(Woong Suh)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7호, 51~6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학교교육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심리적 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매개로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구조방정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의 2021년 및 2022년에 실시된 ‘경기도학교교육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경기도학교교육실태조사’에 응답한 1차년도(2021년) 중학생 8,884명과 2차년도(2022년) 고등학생 4,981명을 대상으로 학생심리적 특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 디지털 리터러시, 학생핵심역량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와 매개효과, 경로 탐색을 위해 R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학습심리적 특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 디지털 리터러시, 학생핵심역량 간 영향은 유의하였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 집단 간 경로에 대해 디지털 리터러시가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이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낮으나 학습심리적 특성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은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론 학습심리적 특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생핵심역량에 중요한 요인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결과적으로 학습심리적 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다양한 교육이 향후 미래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에 있어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lear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on digital literacy and students' core competenci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s To this end, we utilized data from the ‘Gyeonggi Province School Education Status Survey’ conducted in 2021 and 2022 by the Gyeonggi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The analysis focused on the responses from 8,884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year (2021) and 4,981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year (2022), examining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igital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digital literacy, and core competenci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R softwa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mediating effects, and pathway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significant influences among lear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igital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digital literacy, and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Additionally, when comparing pathway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digital literacy on core competencies,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on digital literacy, and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on core competencies were low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an for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 influence of lear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digital literac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Conclusions Lear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igital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and digital literacy significantly influence students' core competencies. This suggests that various educational approaches focusing on lear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gital literacy can play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수빈(Subin Jang),서웅(Woong Suh). (2025).학습심리적 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매개로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학교교육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7), 51-67

MLA

장수빈(Subin Jang),서웅(Woong Suh). "학습심리적 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매개로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학교교육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7(2025): 5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