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주도 환경교육이 대안학교 아동의 기후변화 인식, 지식, 태도와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Environmental Education on Alternative School Children’s Climate Change Awarenes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al Competenc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혜영(Hyeyoung Jo) 한효원(Hyowon Ha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7호, 17~3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자기주도 환경교육이 대안학교 아동의 기후변화 인식, 지식, 태도와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 S대안학교에 재학생 중 자기주도 환경교육에 참여한 중·고등학생 17명이다. 연구 변인의 경향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알아보았고 정규성은 왜도와 첨도, Kolmogorov-Smirnova와 Shapiro-Wilk로 분석하였다. 자기주도 환경교육의 효과성은 비모수 통계 방법 중 사전·사후 짝지어진 표본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방법인 Wilcoxon 검증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 환경교육을 통한 기후변화의 인식, 지식, 태도와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의 사전·사후 경향성을 검증한 결과, 최소 .28점부터 최대 1.04점이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나 자기주도 환경교육의 효과성이 어느 정도 검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기후변화의 태도 사후 점수(S-W)와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의 사후 점수(K-S), 하위요인인 성찰 능력의 사전 점수(K-S, S-W)와 사후 점수(S-W)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사례 수 역시 30미만으로 나타나 비모수 방법으로 통계분석을 해야 하는 당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주도 환경교육을 통한 기후변화의 인식, 지식, 태도와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의 사전·사후 검증결과, 기후변화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기후변화 지식과 태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과 하위요인(기후변화 관련 지식, 기후변화 감수성, 성찰 능력, 통합적 사고, 의사소통 능력, 의사결정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에 대해 단순히 인식하는 것을 넘어 자기주도 환경교육을 통해 기후변화 지식과 태도, 대응 실천역량이 강화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때문에 이러한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개발과 확산이 필요하며, 다양한 교육환경에서의 적용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irected environmental education on alternative school children’s climate change awarenes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al competenc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S Alternative School in Seoul who participated in self-directe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tendencies of the research variables were examined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hile normality was assessed through skewness, kurtosis, and the Kolmogorov-Smirnov and Shapiro-Wilk tests. The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xamined using the Wilcoxon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for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paired pre-test and post-test samples.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pre- and post-trends in climate change awarenes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al competenc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rough self-directed environmental education showed improvements ranging from a minimum of 0.28 points to a maximum of 1.04 points. This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somewhat validated. Seco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post-test scores for attitudes towards climate change (S-W) and practical competenc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K-S), as well as in the pre-test scores for reflective capacity (K-S, S-W) and the post-test scores for reflective capacity (S-W). The sample size was also less than 30, confirming the necessity of using non-parametric method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climate change awarenes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al competence through self-directed environmental education showed that while climate change awareness did not yiel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mate change knowledge and attitud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actical competenc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its sub-factors (climate change knowledge, climate change sensitivity, reflective capacity, integrative thinking, communication skills, and decision-making skill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beyond merely recognizing climate change, self-directed environmental education can enhance climate chang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al competenc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ntinuously develop and disseminate these educational programs a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m in a variety of educational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영(Hyeyoung Jo),한효원(Hyowon Han). (2025).자기주도 환경교육이 대안학교 아동의 기후변화 인식, 지식, 태도와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7), 17-34

MLA

조혜영(Hyeyoung Jo),한효원(Hyowon Han). "자기주도 환경교육이 대안학교 아동의 기후변화 인식, 지식, 태도와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7(2025): 17-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