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structional Approach to Academic Writing Using ChatGPT : Focusing on ‘Constructing a Table of Conte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강민정(Min Jeong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3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습자의 메타인지 활성화를 목적으로, ChatGPT를 활용하여 학문적 글쓰기에서 목차를 구성하는 교수 모형을 제안하였다. 대학에서의 학문적 글쓰기는 대체로 논증적 글쓰기의 성격을 가지며, 주관적 아이디어를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학계에서 요구하는 관습을 준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차 구성은 이러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집중적인 교수 전략으로 제시되는데, 이는 아이디어를 논리적인 순서로 배열하고 위계화하여 논증 전개의 흐름을 드러내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잘 구성된 목차는 곧 독자가 필자의 논리를 쉽게 따라갈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글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목차 작성 후에는 교사의 피드백이 이어지지만, 일방적인 피드백은 학습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피드백 과정을 ChatGPT 활동과 결합한 교수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메타인지를 활성화할 수 있음을 보였다. 다만, 이 글에서 제시하는 교수 모형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는 향후 연구에서 보완할 계획이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3, 1-22. In university contexts, academic writing typically takes the form of argumentative writing, focusing on presenting subjective ideas persuasively while adhering to the conventions of scholarly communication. The construction of a table of contents (TOC) is employed as an intensive instructional strategy because it requires organizing ideas in a logical order and hierarchizing them to reflect the flow of argumentation. A well-structured TOC signals a well-structured text, enabling readers to easily follow the writer’s reasoning. Traditionally, TOC construction is followed by instructor feedback; however, this feedback is often one-sided and has a limited impact on learners. This study proposes a teaching model that uses ChatGPT to guide learners in constructing a TOC for academic writing, with the aim of enhancing their metacognitive awareness. By employing ChatGPT, the proposed model allows for more interactive and reflective feedback, thereby enhancing learners’ metacognitive processes. While the study demonstrates the pedagogical potential of this model, it acknowledges the absence of empirical data on learners’ perceptions, a limitation that we intend to address in future work.(Gyeonsang National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ChatGPT를 활용한 ‘목차 구성’ 수업 모형
3. 메타인지 활용 전략으로서의 ChatGPT 활용 ‘목차 구성하기’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hatGPT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 방안 - ‘목차 구성하기’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온라인 읽기 전략 연구 - 소셜 텍스트와 동영상 텍스트를 중심으로
- 한국어 통합 교재에 수록된 시각 텍스트의 유형 및 교육적 기능 분석 - 『서울대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 조선어 능력 평가 애플리케이션의 문항 유형 구성 방식 분석 연구 - ‘소유(1.0)’을 중심으로
- 한국어와 베트남어 직장 내 호칭어의 화용적 기능 비교 연구
- 네이티브 멀티모달(Natively Multimodal) AI 기반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 효과 연구 - 구글(Google)의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 활용을 중심으로
- 해외지역 한국학 자생기반 구축방안 연구 - 한국학 전공자 취업 활성화를 중심으로
- 한국어 세계화 담론 속에 나타나는 ‘국어’ 단일언어 이데올로기의 문제 - 2000년대 ‘한국어 세계화’ 담론의 출현과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 학습자 주도성에 기반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글쓰기 과제 수행 연구
- 세종학당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 - 국내·외 한국어 교원을 중심으로
- 일본 대학 초급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의 의식 변화와 이문화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이탈리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색채어 연구 - ‘파란색’ 계열 색채어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정도부사 사용 양상 연구
- 문화 체험을 위한 한글 학습 콘텐츠 개발 연구
-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면담 수행에 나타난 질문 양상 연구
- 홍콩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쓰기 오류 분석 -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