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예비교사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의문 분석을 통한 의문생성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이용수  44

영문명
Development of the Quotient Equation of Questioning Ability in the Analysis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Scientific Questions on the Biological Phenomena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권용주(Kwon, Yong-Ju) 이준기(Lee, Jun-Ki) 이일선(Lee, Il-Sun) 김용진(Kim, Yong-Jin)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제56권 제2호, 553~57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예비교사들이 생명현상에 관한 의문과제를 통해 생성한 의문지식의 분류를 통해, 개인의 의문생성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산출식을 얻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여 연구대상은 예비교사 30명 (생물 전공 15명, 비전공 15명)을 선정하였다. 생명현상에 관한 과학적 의문생성과제는 동물, 식물, 미생물 영역으로부터 선발되었고 이에 대해 자신의 의문을 기록하는 것이다. 예비교사들에 의해 생성된 의문지식들은 특성분석에 의해 추출된 4가지 주요 요인 [수준, 객관도, 유형의 다양도, 유창성]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이를 종합하여 개인의 분류능력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수 산출식을 고안하였다.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 종합해 보면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QQ = ∑(LEn×DOn)×D’. 이러한 의문생성력지수 산출식으로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에게 의문생성력지수를 적용해 본 결과, 동일집단 내에서의 능력에 따른 등위파악은 물론 서로 다른 집단 사이의 능력 비교에도 용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에, 이 연구에서 고안된 의문생성력지수(QQ) 산출식은 학생들의 의문생성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duce equation, which could quantitatively evaluate individual`s questioning ability through the type classification of question knowledges generat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during the biological phenomenon task. To the attainment of our goal, 30 pre-service teachers (15 was major in biology and the other half was non-major) who have a number of performing experienc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cientific questioning task was developed in the parts of plant, animal, microorganism and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After being presented with the task pictur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generated questions and then to write their questions on the worksheet. The question knowledges that generated by them was analyzed by 4 major factors (type diversity, level, objectivity and richness) which was extracted from important component of the classified types. Then, general equation which could quantitatively and objectively evaluate individual`s classification ability was reached following equations. ‘QQ = ∑(LEn×DOn)×D’. According to this results, questioning ability quotient (QQ) equation which invented in this study may be applied a practical use of measuring student`s ability of scientific ques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용주(Kwon, Yong-Ju),이준기(Lee, Jun-Ki),이일선(Lee, Il-Sun),김용진(Kim, Yong-Jin). (2008).중등예비교사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의문 분석을 통한 의문생성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개인저작물 - 사회, , 553-576

    MLA

    권용주(Kwon, Yong-Ju),이준기(Lee, Jun-Ki),이일선(Lee, Il-Sun),김용진(Kim, Yong-Jin). "중등예비교사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의문 분석을 통한 의문생성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개인저작물 - 사회, .(2008): 553-5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